알짜배기

[스크랩] 에너지 관련용어 정리

세상한가득 2008. 10. 29. 09:32

백과사전 연관이미지

BP통계

국제석유자본(메이져) 중의 하나인 British Petroleum(BP)사에 의해 발표되는 에너지에 관한 통계자료, 통계는 석유를 제외한 에너지 전반에 걸쳐 있으며, 에너지통계 중에서는 세계적으로 권위가 있다.

 

CADDET

IEA(국제에너지기구) 산하기관으로 설치된 기관으로 정식명칭은 Centre for the Analysis and Dissemination of Demonstrated Energy Technologies(실증 에너지 기술분석 및 보급을 위한 정보센타) 이다. 1994년말 현재 가맹국은 15개국.

 

CFC

화학명칭으로 Chlorofluorocarbon의 약자이다. 냉매 및 발포제로 사용되는 CFC-11은 화학식이 CCl3F이고 CFC-12는 CCl2F2 그리고 CFC-13은 CClF1-CCl2F로 탄소염소 및 불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이다. 이 화합물은 냉매, 발포제 및 전자산업의 세정제로서 산업체 및 생활에 크게 기여해 왔다. 그러나 이의 사용의 증가는 폐기되는 CFC의 량을 증가시켰고 이 화합물이 대기중 확산하여 성층권으로 올라가서 자외선에 의하여 오존과 화학반응을 일으켜 오존의 량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현재는 이의 사용량을 국제적으로 감소내지는 완전히 없애는 노력을 하고 있다.

 

CIF

운임·보험료 포함가격(Cost, Insurance and Freight)으로, 무역거래의 기본조건으로서 가장 넓게 채용되고 있다. 이 조건으로 수출계약을 체결한 판매자는 화물을 수출항의 본선에 선적할 때까지의 위험과 비용을 부담하는 이외에도 목적까지의 운임과 보험료를 부담해야만 한다.

 

COP

Conference of Participates ; 당사국 총회

 

D. D 원유

Direct Deal Crude Oil의 약자로 직접거래 원유를 말한다. 산유국이 개발한 원유, 합병·청부·PS방식에 의한 원유, 로얄티의 현물 지불원유 등을 메이저를 비롯 외국의 석유회사를 통하지 않고 소비국의 석유회사와 직접 거래하는 것을 말한다.

 

EC

European Community의 약어로 구주공동체를 말한다. EC는 구주경제공동체(EEC), 구주석탄철강공동체(ECSC), 구주원자력공동체(EURATOM)의 총칭으로, 1965년에 발족해 현재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네델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영국, 덴마크, 아일랜드, 그리스, 스페인, 포르투갈의 12개국이 가맹되어 있다. 1992년에 조인된 마스트리히트 조약은 EC의 경제·화폐통합, 정치통합의 추진을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앞으로의 행보가 주목된다.

 

FOB

free on board의 약어. 본선인도가격이라고 불리며 CIF와 더불어 가장 많이 이용되는 무역조건이다. 이 조건에서는 구매자의 본선에 화물을 적재할 때까지의 비용과 위험을 판매자가 부담한다.

 

Fuel NOx

연료 중의 질소가 산화하여 생성되는 질소산화물.

 

G.G 원유

Government to Government Crude Oil의 약자로서 정부간의 거래원유를 말한다. 산유국의 지분원유에 대하여 산유국 정부 내지 국영석유회사와 소비국정부 또는 국영석유회사가 메이저 등의 석유회사를 개입시키지 않고 직접 거래를 행하는 경우의 대상원유이다.

 

GCC

Gulf Cooperation Council의 약어로 페르시아만 협력협의회.1981년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카타르, 아랍에미레이트연방, 오만의 페르시아만 연안 6개국에 의해 발족되었다. 이란혁명 저지, 이란·이라크전쟁에서의 이라크 지원등으로 치안·국방면에서의 결속이 강화되었으며 이집트와의 관계개선으로 주도권을 잡게 되었다.

 

GDP

Gross Domestic Product의 약어로 국내 총생산, 국민소득의 크기를 측정하는 데에는 2가지 방법이 있다.그 나라의 거주자가 소유한 생산요소로부터 발생한 소득인 국민 총생산(GNP)을 이용하는 경우와 그 나라의 영역내에서 생산된 소득의 국내총생산(GDP)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대외투자가 많이 차지하는 나라에서는 이자, 배당, 이윤 등 해외로부터의 요소소득이 큰 경우 GNP는 GDP보다 크다.GNP=GDP-[해외로부터의 순소득(국민의 해외로부터의 소득-국민의 해외로의 지출)]

 

GH2

기체상태의 수소. 실온 (정확하게는 20K 이상)에서는 압력에 상관없이 기체상태이다.

 

GNP

Gross national Product의 약어로 국민 총생산, 국민경제가 일정기간에 생산한 최종생산물의 가치액의 합계이다. 이중계산을 피하기 위해 총생산으로부터 원재료, 중간생산물의 가치액을 공제한 것으로 현실의 시장가격으로 표시된다.

 

GWP

Gross World Product의 약어로 세계 총생산. 단일통화제도(예를 들면 U.S. $)내에서 어느 특정기간에 세계 모든 국가들의 GNP의 합.

 

IEA

International Energy Agency(국제 에너지기구)의 약칭. 제1차 석유위기 후의 국제에너지 정세에 대응해 가기 위해 미국의 제창에 의해 1974년 11월에 설립된 석유소비국의 국제기구. 사무국은 파리의 경제협력개발기구 본부내에 있으며, 현재 가맹국은 21개국. 설립당초는 OPEC의 원유공급 삭감과 가격인상에 대응하는 것이 큰 목적이지만, 최근에는 비상시의 석유유통과 대체에너지 개발협력 등에 중점이 놓여지고 있다.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기후변동에 관한 정부간 패널)의 약칭. 인간활동의 확대에 수반된 대기환경의 변화가 기후, 식량, 에너지, 수자원등 사회 모든분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경제의 지속적 성장을 저해할 지도 모른다는 공통인식하에 구체적 대처를 검토하는 정부간 회의. 1988년 11월 제1회가 제네바에서 개최되어 3개의 위원회가 설치되었다. 이 활동은 21세기 에너지정책과 환경정책의 지침이 된다.

 

ISO

International Organizaton for Standardization(국제표준화 기구)의 약어. 국제적 단위·용어 등의 표준화를 추구하는 기구.

 

LCA

Lift Cycle Assessment의 약어. 물품의 생산에서 폐기에 이르기까지의 자원고갈량, 환경오염량 등을 조사, 분석해 평가하는 방법.

 

LH2

액체상태의 수소.

 

MPa

압력단위로 메가 파스칼(mega Pascals) 로서 10기압에 해당된다.

 

NEDO

New Energy and Industrial Technology Development Organization의 약어로 일본의 신에너지 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를 말한다. 두차례의 석유위기로 탈석유대책의 필요성이 고양되었으며, 원자력이외의 에너지중 실용화 전망이있는 석유대체에너지의 효율적인 연구개발과 재정적인 지원을 목적으로 1980년 정부출자를 중심으로 설립되었다. 석탄의 가스화·액화, 태양광발전, 풍력, 연료전지, 신형전지저장시스템, 지열 등의 기술개발 이외에 석탄광업합리화사업, 알콜제조사업을 하고 있다. 1993년 3월 에너지절약법 개정에 따라 에너지사용합리화를 위한 기술개발, 기술보급에 필요한 보조금의 교부, 정보 수집·제공 및 기술지도 등의 업무가 추가되었다.

 

NEPP

National Energy Policy Plan의 약어로 미국의 에너지정책을 말한다.1977년에 제정된 에너지성(DOE) 설치법 의해, 대통령은 2년마다 이의 의회 제출이 의무화되어 있다. 1981년의 레이건 정권발족 이후 석유시장의 규제를 폐기하는 등 정부의 규제를 완화해 시장매커니즘을 중시하는 정책을 취하고 있다. 1986년 3월에는 제5차 국가에너지정책이 의회에 제출되었다.

 

NI

National Income의 약어로 국민소득. 주어진 기간(일반적으로 1년)동안에 봉급, 자본이자 이익(명목수입)을 포함하는 국민들의 모든 수입의 합.

 

NNP

Net National Product의 약어로 국민 순생산. GNP-감가상각비

 

NYMEX

New York Mercantile Exchange의 약어로 뉴욕상품거래소를 말한다. 여기서 이루어지는 원유의 선물거래가격이 세계 석유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OAPEC

Organization of Arab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아랍석유수출기구)의 약어.1986년 당시의 온건 3개국인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리비아에 의해 설립되었다. 본부는 쿠웨이트에 있으며, 현재의 참가국은 10개국. OPEC가 석유정책을 협의하는데 반해 OAPEC은 아랍제국의 이익을 위해, 예를 들면 탱커수리용 도크의 건설과 해운 등 실제의 비지니스를 수행한다.

 

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경제협력개발기구)의 약칭.구주부흥계획(마샬플랜)을 담당했던 구주경제협력기구(OEEC)의 뒤를 이어 OEEC 18개국에 미국, 캐나다가 참가해 1961년 9월에 발족되었다. 주요목적은 가맹국의 협력에 의한 경제성장, 무역확대, 개발도상국 원조를 추진하는 데 있으며 현재 24개국이 가입해 있다.

 

OPEC

Organization of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석유수출기구)의 약칭. 1960년 9월 이라크,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베네수엘라, 이란의 5개국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본부는 빈에 있다. OPEC설립의 직접적인 원인은 1959년과 1960년 2회에 걸친 원유공시가격의 대폭적인 인하가 메이저에 의해 일방적으로 행해진 데에 있는데 산유국간의 석유정책협조와 이를 위한 정보수집, 의견교환 등에 목적을 두고 있다. 현재의 가맹국은 위 5개국 이외에 카타르, 인도네시아, 리비아, 아랍에미레이트 연방, 알제리아, 나이지리아, 에쿠아도르, 가봉으로 13개국이다.

 

RDF

Refused Drived Fuel

 

TC

Ton of Carbon ; 탄소톤

 

Thermal NOx

연소용 공기 중의 질소가 고온에서 산화하여 생성되는 질소 산화물.

 

TOE

Ton of Oil Equivalent ; 석유환산톤

 

UNCED

UN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유엔환경대발회의)의 약칭. 1972년 유엔인간환경회의 이후 20년만에 개최된 환경에 관한 유엔회의. 1992년 6월 3일 부터 14일에 걸쳐 브라질 리오데자네이로에서 개최되어, 각국 원수 또는 정부수뇌가 출석했기 때문에 지구서미트라고도 불린다.

 

WTI

West Texas Intermediate의 약자로. 미국에서 생산되는 대표적인 원유를 말한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이루어지는 선물거래의 주요상품의 하나로 북해 브랜트원유와 함께 구미 석유시장의 지표가 된다.

 

가동율(Lf)

1년동안에 발전된 총발전량을 최대출력(설비용량)으로만 발전되었다고 가정할 ? 발전한 시간과 1년(8,760시간)에 대한 비율(%)

 

가스오일(Gas oil)

끓는점이 200∼350℃의 범위에 속하는 석유제품을 말한다. 가스유, 중유, 경유, 중질등유, 발동기유라고도 한다. 등유와 중유의 중간 유분으로, 비중은 대체로 0.84∼0.90이다.석유 원유를 증류하여 끓는점 200∼350℃ 사이에 유분을 채취하여 황산 및 가성소다로 세정하고 정제하여 제품으로 한다. 용도는 대체로 등유와 비슷하여 등화용, 동력용(석유기관, 고속 디젤 기관 등), 열용 등으로 사용되며, 기타 기계의 세척, 석유유제, 절삭유 등에도 사용된다. 수성가스 등의 중열용으로 사용한 데서 유래하여 가스 오일이라고 하게 되었다. 출처 : [가스뉴스 kgnp@gasnews.com]

 

가스터빈(Gas turbine)

터빈기관으로서 압축된 뜨거운 연소가스가 터빈을 작동시키고, 다음으로 이 터빈은 연소공기의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압축기(콤프레샤)를 작동시키는 것

 

가스화(Gasification)

가스화용 매체(공기, 산소, 증기 등)와 고체연료를 반응시켜 연료가스를 제조하는 공정.

 

가압수소가스(CGH2 or CH2)

가압상태의 기체상태 수소.

 

가채년수

어느 해의 확인매장량(R:Reserve)을 그 해의 생산량(P:Production)으로 나눈 수치로 통상 R/P로 나타낸다. 현상태로 향후 몇 년 생산이 가능한가를 나타낸다.

 

간접에너지(Indirect Energy)

가솔린, 등유, 전기, 가스 등 직접적으로 소비하는 에너지에 대하여 석유화학 제품이나, 운수, 통신, 서비스 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소비하는 에너지를 말한다.

 

갈탄(Brown coal/lignite)

가연성, 고체, 검은색을 띤 갈색, 화석 탄화물의 침강성 퇴적물. 갈탄, 경성탄의 구분에 필요한 확실한 근거가 연구되어 확인되기 전까지는 각국에서 여러 다른 특성을 근거로하여 갈탄으로 분류되던 석탄은 열량에 관계없이 (30℃, 96% 상대습도의 공기와 평형을 이룬 석탄의 총열량이 24 MJ/Kg을 넘는 경우도 포함된) 갈탄으로 분류됨.

 

감압 경유(VGO / Vacuum Gas Oil)

상압잔사유를 VDU로 감압증류 시킬 때 탑의 상부로 생산되는 유분으로, FCC, Hydrocracker, 간접탈황, 윤활기유의 원료로 사용하며, 점도를 맞추기 위해 다시 연료유(B-A, B-B, B-C) Blending에 사용되기도 함.증류온도 및 유분의 성상에 따라 LVGO(Light Vacuum Gas Oil, 경질 감압경유), MVGO(Medium Vacuum Gas Oil, 중질 감압경유), HVGO(Heavy Vacuum Gas Oil, 중질감압경유)로 구분한다.

 

감축목표(Quantified Emission Limitation and Reduction Objectives, QELROs)

기준 년도의 온실가스 배출량과 대비, 양적으로 설정된 배출 목표. 현행 교토의정서의 경우 각국의 사정에 따라 '90년 배출량 대비 8%감축에서부터 10%증가까지 허용.

 

개발가능매장량(Exploitable deposit / Exploitable resource)

평가 당시 지배적인 조건하에서 경제적으로 개발할 가치가 있다고 평가되는 매장물이나 자원.

 

개질휘발유(Reformate)

저옥탄가의 납사를 열 개질 또는 접촉개질시켜 얻는 고옥탄가의 휘발유를 말함.

 

건성가스(Dry gas)

(1)탈수공정에 의하여 수분이 제거된 천연가스(2)상온, 상압하에서 상업적으로 회수가능한 액성 탄화수소물이 전혀 없거나 소량을 포함한 천연가스.주:(2)의 경우 특성사양은 75㎥의 천연가스에 1리터 이하의 응축액(Condensate)을 포함한 천연가스임.

 

건폐율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대지에 2이상의 건축물이 있는 경우에는 이들 건축면적의 합계로 한다.)의 비율.

 

결정질실리콘(Crystalline Silicon) 태양전지

현재 사용되고 있는 태양전지의 약 8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실리콘을 원통 실린더(단결정 : Single crystalline) 또는 사각형의 블록 형태(다결정 : Multi crystalline)로 성장 또는 주조한 다음 이를 얇게 썰어 웨이퍼를 만들고 웨이퍼를 처리하여 태양전지를 제조함. 웨이퍼의 두께는 보통 300um 내외임.

 

경성탄(Hard Coal Lignite)

수분과 회분을 제외한 계산기준으로 총열량이 24MJ/Kg(5700Kcal/Kg 또는 10260 Btu/1b) 이상인 가연성, 고체, 검은색, 화석 탄화물의 침강성 퇴적물. 단, 석탄의 총열량이란 30℃, 96% 상대습도의 공기와 평형을 이루고 있을 때 회분제외기준으로 계산된 것임.

 

경유(Light Oil)

원유를 증유로 얻을 수 있는 비점 200℃이상, 인화점50℃이상, 90% 유출온도 350℃이하의 연료유를 말한다. 디젤엔진용 연료로서 사용된다.

 

경질경유 (LGO(Light Gas Oil))

 

직류경유(Straight Run Gas Oil)

 

경질원유(Light Crude Oil)

휘발유분이 상대적으로 많고 비중이 작은 원유를 말한다. 원유는 비중이 작을수록 가솔린과 나프타등 이용가치가 높은 성분을 많이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고품질로 여겨진다.

 

경질중유(B-A/Bunker-A)

경유유분 70%, B-C 유분 30%를 혼합시킨 연료유.

 

고속증식로(Fast Breeding Reactor)

경수로에서 사용된 연료부터 추출된 플루토늄을 연료로 하고, 핵분열 반응을 일으키는 데에 고속중성자를 주로 이용하며, 소비된 연료이상의 연료물질(플루토늄)이 생기기 때문에 우라늄 자원의 이용가능성이 크게 확대된다. 노의 냉각에는 통상나트륨이 이용된다.

 

고압가스저장용기

실온에서 200기압 이하의 수소, 천연가스 등 기체상태의 가스를 저장하는 용기.

 

고에너지연료(High Energy Fuel)

종래의 석유계 탄화수소 연료에 비해서, 발열량 및 연소온도가 높고 추진력이 큰 연료, 수소, 베릴리움, 붕소, 리튬 등은 단위 질량당 연소열이 크며, 알루미늄, 마그네슘, 규소등은 고온화염을 내기 때문에 액체수소나 상기 원소의 수소화물 및 단체의 비분말을 탄화수소 연료에 현탁시키거나 고체연료에 섞어서 속에 넣은 것 등이 고에너지 연료이다.

 

고열가스(Blast furnace gases)

고로에서 철의 제조시 생성되는 가스연료.

 

고열가스(High-calorie Gas)

 

천연가스 및 SNG(합성 천연가스)가 이에 속하며, 메탄이 주성분으로 발열량은 9,400kcal/㎥정도이다.파이프라인에 의한 원거리 수송에 저당하기 때문에 파이프라인급 가스라고도 한다. 미국에서는 석탄의 가스화가 SNG제조의 목표로 되어 있다. 도시가스, 공업용 및 발전용 가스로서 중요하다.

 

고온 코우크스(High Temperature Coke)

800℃ 이상의 온도에서 석탄을 건류하고 남은 고체 잔유물. 800℃라는 최저온도는 전세계적으로 일정하지는 않다. 어떤나라(프랑스, 독일어권 국가)에서는 경성탄의 경우 1000℃, 갈탄의 경우 900℃를 최저온도로 잡는다.

 

고체연료(Solid Fuel)

석탄, 코크스 등 고체형태의 연료를 말한다. 그중 석탄은 가스화 또는 액화해서 유체로서 사용하려는 연구개발이 활발하다. 코크스는 오늘날 제철용등으로 중요한데, 강점결성의 원소탄 부족으로 석탄배합에 의한 성형 코크스의 제조가 중요하게 되었다.

 

고효율 가스터빈

발전용 가스터빈의 발전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켜, 거기서 배출되는 고온 배출가스를 이용하여 얻어진 고온증기에 의하여 구동되는 증기터빈과 조합시켜 놓은 것이다.

 

공기식집열기(Air-cooled solar collector)

열전달매체가 공기인 태양열 집열기

 

공동이행제도(Joint Implementation, JI)

교토의정서 제6조에 규정된 것으로 선진국인 A국이 선진국인 B국에 투자하여 발생된 온실가스 감축분의 일정분을 A국의 배출저감실적으로 인정하는 제도.

 

공시판매가격(Official Sales Price)

OPEC(석유수출국)에 가맹되어 있는 산유국이 소비국에 판매하는 석유가격으로 OPEC총회에서 정식으로 결정되는 가격이다. 정부판매가격(GSP)라고도 불리며, FOB(Free on Board:본선인도) 가격으로 표시되고 있다.

 

공정중량(Process Weight)

연료를 포함하여 제조공정에 도입되는 모든 연료의 전 중량을 가리킨다. 공정중량은 공정에서 오염물질의 허용 배출을 계산하는 데 이용된다.

 

과불화탄소(PFCs)

탄소와 불소의 화합물로 우리나라의 경우 반도체제조 공정시 주로 사용됨.

 

과학기술자문 부속기구(Subsidiary Body for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dvice, SBSTA)

온실가스배출통계 방법론, 국가보고서 작성지침 등 협약의 과학기술적 측면에 대한 권고안을 만들어 당사국총회 또는 요청이 있을 경우 다른 부속기구에 제출하는 역할을 수행함.

 

광기전력(光起電力: photoelectro-motive force)

반도체에 빛을 조사했을 때 발생하는 전압

 

광물연료와 화석연료(Mineral and Fossil Fuels)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반응(혹은 핵 전환)에 의해 방출되어진 에너지를 포함하고 있는 천연 광물 자원으로부터 추출되었거나 추출할 수 있는 원료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광물연료이다. : 고체연료, 액체연료, 가스 화석연료, 핵연료.

 

광전지(光電池: photocell)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

 

광전효과 (光電效果: photoelectric effect)

일반적으로 물질이 빛을 흡수하여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전자, 즉 광전자(光電子)를 방출하는 현상

 

국내에너지총생산(Primary Production of Energy)

천연에너지원의 획득과(수력발전등 1차 전력을 포함하는) 일부 전환 에너지의 생산. 즉, 연료의 일차적 생산분 (채탄, 채굴 등)에서 연료 정제과정의 불활성물을 차감한 양(천연가스의 경우 생산공정에서 태워버리거나 지하로 재주입시킨 에너지분을 제외시켜야 함). 2차 에너지로의 전환공정을 거치지 않은 재생에너지와 열발생 목적으로 이용된 동식물로부터의 에너지도 이 항목에 포함된다. 1차 전력생산은 수력발전, 지열발전과 원자력발전을 주로 지칭하나(세계동력회의의 에너지발란스에서는 수력과 원자력발전분을 등가 1차 에너지로의 환산을 권장함), 추가로 태양광발전, 풍력발전도 포함시킴이 바람직하다.

 

국제벙커링(Bunkers)

국적이나 선박종류에 구분없이, 외항선박에 공급되는 연료유의 양.주 : 외항선박이나 연안해운용, 국제선을 위시한 항공기용은 제외한다.(현행 국내관행은 외국국적의 선박과 항공기용 연료공급을 모두 벙커링으로 분류함.)

 

국제에너지기구(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 )

'74년 11월 OECD 이사회에서 설립을 결의, '76년 1월에 발족. 회원국은 미국, 영국, 일본, 호주 등 선진국 중심의 24개국임.

 

궁극가채매장량

석유와 가스가 지하 저류암층에 존재하는 양을 매장량이라 하지만, 실제로 유전을 개발하는 경우, 지표로 추출해 낼 수 있는 가채매장량은 실존하는 석유 총 매장량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이 중에서 채취의 경제적, 기술적 조건은 무시하고 물리적으로 추출이 가능한 매장량을 궁극가채매장량이라 부르고 있다.

 

궁극매장량/최대 매장량(Ultimate or Reserves)

지구상에 존재하기 때문에 언젠가는 발견될 수 있는 탄화수소의 양. 이것은 기술적이나 경제적 개념, 혹은 시간적 제약에 관계없는 순수한 지질학적 개념이다.

 

금속수소산화물(수소흡장합금)이용 수소저장(Metal hydrogen storage)

금속합금 형태로 수소를 저장하는 방법으로 금속의 결정 격차 공간에 수소를 채워 저장한다.

 

기저부하용 발전소(Base-load Power Station)

주로 기저부하대 소요전력을 공급하는 발전소.

 

기준년도(Historical Base Year)

감축목표 설정시 이용되는 특정 연도를 지칭. 선진국의 경우 '90년을 기준년도로 사용하고 있음.

 

기체연료(Gas Fuel)

기체형태의 연료로서 천연가스, 프로판 가스, 석탄 및 석유의 가스화 연료가 있다. 기체연료의 발열량에 따라 고열가스(9,400kcal/㎥, 천연가스 등), 증열가스(2,800∼3,800kcal/㎥, 수성가스 등) 및 저열가스(1,300kcal/㎥, 발생로 가스, 용광로 가스 등)로 나뉘어진다. 고열가스는 최근 액화천연가스로서 대량 수입되어, 발전용 및 도시가스로서 중요하게 되었으며 석탄, 석유의 가스화에 의한 합성 천연가스(SNG)가 연구 개발중이다. 중열가스인 수성가스는 메탄올로 이는 합성석유의 원료로서 중요한데 수성가스의 변성, 증열에 의한 합성 천연가스의 원료로도 된다. 저열가스는 공업용 및 발전용으로 중요하다. 장래의 크린가스로서 수소연료가 큰 연구과제로 되어있다. 기체연료는 고체 및 액체연료에 의해 탈류, 탈화되기 때문에 연소성, 취급 등의 점에 있어서 우수하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88년에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P)에 의해 설립됨. 기후변화에 관련된 과학적·기술적 사실에 대한 평가를 제공함.

 

난방일수(Degree Day)

24시간 동안의 평균외부 온도가 기본온도보다 낮아질 경우 두 온도간의 차이로 나타낸 실험적인 단위. 난방일수는 건물의 난방 수용을 예측하는 데 쓰인다.

 

납사 분해시설(NCC / Naphtha Cracking Center)

납사를 스팀과 혼합하여 800℃ 정도의 고온에서 열분해함으로써 석유화학의 기초원료인 에틸렌(Ethylene, 폴리에틸렌의 원료), 프로필렌(Propylene, 폴리프로필렌의 원료), 부틸렌(Butylene, 합성고무의 원료)을 생산하는 시설로, 부산물로는 B.T.X.도 생산됨. Naphtha Cracker 또는 Steam Cracker라 불리기도 하며 규모를 말할 때 보통 에틸렌 생산 기준으로 말한다.

 

납사, 나프타(Naphtha)

넓은 의미로는 휘발성 석유류를 총칭하며, 좁은 의미로는 원유에서 직접 생산되는 유분으로 끓는점 범위 300℃-200℃에 있는 유분을 말함. 이중 끓는점이 100℃ 이하인 것을 경질납사(Light Straight Run Naphtha, HSR)라 함. 경질납사는 주로 용제 및 석유화학의 원료로 사용되며(NCC의 원료), 중질납사는 개질시설(Reformer)을 통해 휘발유 제조나 B.T.X. 생산에 사용된다.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

내연 주기에 따라서 작동하는 엔진, 열기관 내에서 연료의 연소가 실린더 내에서 일어나 이 연소생성물이 동력 왕복운동의 작동매체가 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예로서는 휘발류, 디젤 그리고 가스를 사용하는 엔진들이 있다.

 

뉴선샤인계획

일본 통상산업성 공업기술원은 신에너지기술에 대해 1974년에 선샤인계획을, 에너지절약기술에 대해서는 1978년 문라이트계획을 각각 발족시켜 장기적인 시점에서 연구개발을 산·관·학의 연대 하에 추진하고, 1989년부터는 환경부하의 경감을 도모하기 위해 지구환경기술과 관련한 연구개발제도를 발족시키고 있다. 신에너지, 에너지절약 및 지구환경기술의 3가지 분야의 기술개발은 서로 중복되는 부문이 있지만 유기적인 연대를 꾀함으로써 에너지, 환경기술의 효율적, 가속적인 추진을 이루기 위해 1993년 이들 3분야를 일체화한 뉴선샤인계획을 발족시켰다.

 

당사국(Party)

기후변화협약에 가입한 국가(또는 지역경제통합기구)로서 규정에 의하여 법적인 의무를 지게됨.

 

당사국총회(Conference of the Parties, COP)

기후변화협약 관련 최종 의사결정기구로서 대체로 협약의 진행을 전반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일년에 한번 모임을 가짐. 제1차 총회는 '95년 베를린에서, 제2차 총회는 '96년 제네바에서 제3차 총회는 '97년 교토에서, 제4차 총회는 '97년 아르헨티나에서 그리고 제5차 총회는 '99년 본에서 개최됨.

 

대기질량 1조건(Air mass 1 conditions)

표준상태 (해발 기준고도상태) 에서 지구의 대기를 실제로 통과한 광학적, 진행거리 (대기질량)와 지구의 대기를 수직방향으로 통과한 거리와의 비가 1일때를 나타낸다.註 : 실제로 통과한 대기질량은 태양고도의 secθ 값에 따라 변하며, 대기의 혼탁도 (turbidity)에 비례한다.

 

도시가스(Town Gas, City Gas)

도시의 중앙공급원에서 도관에 의하여 각 수요자에게 보내지는 연료가스. 근년에는 액화가스기술의 발전에 의해 천연가스를 공급하는 경향이 있다. 천연가스는 석탄가스와 달라 유독한 일산화탄소 성분이 없고, 고열가스이므로 저장 및 수송에 있어 유리하다. 도시가스 성분은 단순화의 경향을 보이며, 수소연료가 개발되는 장래에는 도시가스도 그 주류가 될 것이다.

 

등유(Kerosene)

비점 150∼260℃의 원유분을 말한다. 일찍부터 등화용으로 쓰여졌기 때문에 이 이름이 쓰여졌다. 용도로는 난방용, 주방용연료, 석유발동기용 연료, 용제, 기계세제용, 신호등유, 솔벤트 등유, 가스 터빈, 엔진용 연료등이다.

 

로(Furnace)

물리적 또는 화학적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물질을 높은 온도로 가열하기 위하여 설계된 용기로서 통상적으로 내부는 내화성 물질로 장비되어 있다. 주 : 산업용 로는 아주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바, 여기에 포함되는 것은 금속 용융, 철과 비철 금속의 열처리, 유리 생산, 도자기, 벽돌, 시멘트와 석회를 위한 가마의 가열 그리고 다수의 화학공정들이다.

 

메이저(International Oil Majors)

거대자본을 배경으로 채유에서 판매에 이르는 각 단계를 세계적인 규모로 완전히 장악하여 종합경영을 하는 석유회사를 메이저 또는 국제석유자본이라 한다. 엑슨 , 모빌, 텍사코, 스탠다드 캘리포니아, 걸프, 브리티시 페트롤리엄(BP), 로얄 더취셀의 7개사를 7대 메이저(세븐 시스터즈)라 부르고 있다. 중동, 남미, 아프리카 지역에서 전면적인 국유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메이저의 자산시설은 대부분이 산유국에 접수되어 원유의 지배력도 없어졌다. 걸프는 쿠웨이트의 자원을 상실한 후 83년에 유럽대륙의 판매·정유 전 시설을 쿠웨이트 국영 석유회사에 매각하였고, 더욱이 84년 3월 스탠다드 캘리포니아에 흡수, 합병되어 모습을 감추었다.

 

메탄발효(Methane Fermentation)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유기물은 혐기성균의 공동작용에 의하여 분해되며, 메탄과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발효를 말한다. 제1단계는 복잡한 화합물이 간단한 화합물 특히 저급지방산으로의 분해이고 제2단계는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분해이다. 메탄발효는 제2단계 분해를 말하며 이것에 관여하는 세균을 메탄세균이라고 총칭한다. 발효온도는 중온과 고온이 있고, 후자의 경우 전자보다 유기물의 분해속도가 빠르다. 도시발기물의 메탄 분해소화에 의한 환경오염 방지 및 에너지절약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무연 고체연료(Solid Smokeless Fuel)

천연 그대로, 또는 특별한 처리를 하여 태울 때 배출되는 가스중에 눈에 보이는 고체나 액체물질(예: 회분, 매연, 타르)의 함량이 극히 적은 연료.

 

미이용 에너지(Unused Energy)

도시내부, 공장등에서 생활, 업무, 생산, 활동의 결과로서 생겨나 그대로 혹은 유효하게 회수되지 않고 환경에 방출되는 다양한 온도의 열에너지등으로서, 자연에 풍부히 존재하며 그 활용이 도시환경에 생태학적으로 영향을 주지않는다고 생각되는 자연에너지를 말한다.

 

바이오 가스(Biogas)

혐기적 소화작용으로 바이오매스에서 생성되는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혼합형태인 기체를 말한다. 이러한 혼합기체로부터 분리된 메탄을 바이오메탄가스라고 한다. 그외 바이오개스의 형태는 퇴비가스, 습지가스, 폐기물 등의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것과 제조된 가스도 있다.

 

바이오매스 자원(Biomass Resources)

에너지원 또는 화학공업용으로서 이용될 수 있는 일정규모로 집적한 생물체를 말한다. 목재와 같이 태워서 연료로 하는 것, 수액처럼 분해하여 석유의 형태로 이용하는 것, 혹은 식물중의 전분처럼 발효시켜 알콜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있다. 농축산폐기물이나 도시쓰레기 등의 미이용 자원도 포함된다.

 

바이오매스(Biomass)

바이오매스란 원래 "생물량"이라는 생태학적 용어였으나 현재는 에너지화할 수 있는 생물체량이란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 녹색식물은 태양에너지를 받아 물과 탄산가스를 이용하여 전분, 당 또는 섬유소를 합성하고 이를 식물에 저장함. 동물은 식물을 먹고 자라며 동식물은 미생물에 의하여 종국적으로 탄산가스와 물 등의 무기물로 분해되어 하나의 순환과정을 형성한다. 이러한 생태계의 순환과정 중에 관련된 모든 "유기체"를 일컬어 바이오매스라 하며 이중에서 가장 많은 것이 식물 자원임. 이러한 바이오매스로부터 여러 가지 형태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으며 이 에너지는 "재생성(renewability)"을 가지고 있다고 말함. 그 재생속도는 생물체마다 각기 다르며, 또한 계절 또는 하루를 주기로하는 태양광의 조사량, 기후 그리고 날씨조건 등에 따라서 다르다. 각 식물의 성장주기에 따라서도 다르며, 생물체의 지배조건에 따라서 크게 달라짐. 그러나 통계학적으로는 재생속도를 평균 1년을 주기로 한다고 보면 됨.

 

바이오연료(Biofuel)

바이오매스의 혐기발효를 목적으로 설계된 탱크를 말한다.

 

박막 태양전지(Thin Film Solar Cells)

비정질실리콘, CuInSe2 등의 화합물반도체를 소재로 한 것으로, 두께 수 um 내외로 유리 등의 기판위에 박막형태로 만든 태양전지로 대면적의 모듈을 일관공정으로 제조 할 수 있음.

 

반사율(Reflectance/reflection factor)

어떤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된 복사에너지와 같은 표면에 입사된 총 복사에너지와의 비.註 : 이를 더 세분하면, 단색반사율(reflectivity : 어떤 주어진 파장에서 반사된 복사에너지와의 비)과 반사계수(reflection coefficient : 파장의 범위가 주어졌을때 태양복사에너지의 스펙트럼 분포에 따라 가중치를 고려 계산된 평균반사율)로 구분된다.

 

발광효율

백열전구나 형광등 같은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광의 시감량을 소비전력으로 나눈 값 즉 lm/W를 말한다. 소비전력에 비해서 시감량이 클수록 그 광원의 에너지효율이 크다고 할 수가 있다. 형광등의 발광효율이 백열전구에 비해 약 3배 정도나 크다.

 

발열량(Heating Value)

단위량의 연료가 일정조건하에서 완전 연소한 경우에 내는 열량.

 

발전기

발전기는 유도발전기와 동기발전기로 분류되며, 유도발전기는 계통선 연계용으로, 동기발전기는 벽지, 오지 등 독립된 발전소에 사용된다.

 

발효(Fermentation)

발효과정은 초기물질(바이오매스)보다 더 간단한 화학구조의 물질이나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 미생물과 이들의 효소에 의해 이루어지는 대사과정을 말한다.

 

배럴(BBL/Barrel)

석유용량의 단위지만 본래는 「중간이 부푼 통」의 의미. 미국 펜실베니아주의 도르크라는 사람이 1859년 처음으로 석유의 기계 채유에 성공해 550갤론의 나무통에 채워 판매한다. 당시는 수송중의 취급이 조악했었기 때문에 도중에 석유가 새어 42갤론 정도가 되는 경우가 많아, 이것이 현재 1배럴=42갤런의 기원이 되었다. 환산율은 1배럴=42갤론=5.6146ft3=159ℓ

 

배분 네트워크(Distribution Network)

전기에너지, 천연가스, 지역난방 지역이나 관심의 대상에 있는 압축공기의 분배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배송 네트워크(Transmission Network)

하류에 위치한 분배 네트워크에 에너지(탄화수소, 전기, 열 등)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배전선로/계통(Distribution network/system)

배전변전소에서 실제 전기를 사용하는 장소의 인입점까지 설치된 전선로와 계통.

 

배출권거래제(Emission Trading, ET)

교토의정서 제17조에 규정된 것으로 온실가스 감축의무가 있는 국가에 배출쿼터를 부여한 후, 동 국가간 배출쿼터의 거래를 허용하는 제도.

 

배터리(Battery)

cell이 하나 이상 직렬 혹은 병렬로 연결되어 어떤 부하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를 의미.

 

베를린위임사항(Berlin Mandate)

제1차 당사국총회시 결정사항으로 협약상 200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1990년 수준으로 감축시킬 것을 목표로 정책 조치를 취한다는 선진국의 공약(commitment)이 부적절하다고 결론짓고 '97년말까지 2000년 이후 구속력있는 감축의무를 정하도록 함.

 

복사도(Emissive power)

일정온도와 주변조건이 주어졌을때 어떤 표면에서 단위면적당 복사되는 총에너지.

 

복사율(Emissivity)

같은 온도와 조건에서, 어떤 한 표면이 실제 복사하는 에너지와 이 표면을 완전흑체(perfect black body)로 가정했을 때 복사되는 에너지와의 비.

 

부속기구(Subsidiary Body)

당사국총회를 보조하기 위한 위원회를 말함. 협약에 의해 규정된 2개의 영구적인 부속기구인 이행자문 부속기구(SBI)와 과학기술자문 부속기구(SBSTA)가 있음.

 

부속서 I 국가(Annex Ⅰ Nation)

기후변화협약상 구속력 있는 감축의무를 부담하는 국가. 협약채택 당시에는 35개국이었으나, '97년 제3차 당사국총회시 크로아티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모나코, 리히텐슈타인 등 5개국이 추가로 가입하여 현재 40개국임.

 

부속서 II 국가(Annex Ⅱ Nation)

Annex I 국가에서 동구권국가가 제외된 국가군으로 OECD 24개국과 EU임.

 

부하요인(Load Factor)

최대치를 반영하는 연속적인 사용이나 동 기간내에 일어나는 다른 특별한 수요에 기인하는 소비에 대한 특정한 기간(년, 월, 일 들)내의 소비비율.

 

부하율(Energy capability factor)

어느 기간중의 평균전력을 그 기간중의 최대전력으로 나눈 것으로 백분율로 표시되며 연부하율, 월부하율, 일부하율로 구분할 수 있다.부하율(%) = 평균전력(KW) / 최대전력( KW) * 100월부하율(%) = 1개월의 소비전력량(KWh) / P*720 * 100단, P=최대전력, 계약전력 또는 설비전력

 

분쇄(Size Reduction)

원료물질들은 부수거나, 갈거나 빠아서 작게 만드는 과정. 분쇄(crushing)는 비교적 거칠게 입자들을 분말화 하는 것을 통상 의미하여 이에 비해제분(grinding)과 미분화(pulverising)는 상대적으로 미세한 입자들을 만들어 내는 것을 뜻한다.

 

분해정제시설(Cracking Refinery)

Hydroskimming Refinery에 분해시설을 추가한 형태의 정유시설을 말하며, 분해시설은 주로 RFCC 나 FCC를 말함. 분해시설을 통해 부가가치가 낮은 연료유를 고부가가치의 경질제품으로 전환시킬 수 있어 수익성이 증대하며, 동시에 원유에 대한 의존도도 낮아져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다.

 

브라운 아스팔트(Blown Asphalt)

연질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일반 아스팔트)를 가열하여 공기를 불어넣어 산화, 중합 등의 반응을 일으켜 만든 아스팔트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보다 더 단단하고 연화점이 높으며 온도에 대한 변화가 작아 방수공사, 루핑, 전기 절연재료 등에 사용됨.

 

브라운가스

물을 전기분해하면 수소와 산소가 2:1의 부피비로 생성되는데 이 혼합가스를 브라운가스라고 하며, 주로 용접, 특수가열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비·티·엑스(BTX / Benzene Toluene Xylene)

납사의 접촉개질 등을 통하여 생산된 방향족 화합물로 벤젠, 톨루엔, 자일렌을 말함.

 

비·티·유(BTU / British Thermal Unit)

열량을 나타내는 단위의 하나로 1BTU=252cal

 

비·피·시·디(BPCD / Barrel Per Calender Day)

년간 총 처리물량을 365일로 나눈 값으로 시설의 생산능력보다는 제품의 수요 등을 표시할 때 주로 사용하는 단위임.

 

비·피·에스·디(BPSD / Barrel Per Stream Day)

년간 총 처리물량을 년간 실지 가동일수로 나눈 값으로 시설의 규모를 표시할 때 주로 사용함. 일반적으로모든 시설은 1-2년에 한 번씩 정기보수를 위해 가동을 중지하며 1년중 평균 가동일수를 계산하여 처리용량을 산출함으로써 하루에 실질적으로 처리가능한 규모를 표시함. 보통 연간 가동일수는 330일 또는 365일의 90%를 기준으로 한다.

 

비당사국(Non-Party)

협약을 비준하지 아니한 국가로서 옵서버 자격으로 회의에 참가할 수 있음.

 

비연료유(Non-Fuel Oil)

에너지발생을 위한 연료가 아닌 연료 등으로 사용되는 유종을 말하며 이에는 납사, 용재, 아스팔트가 포함된다.

 

비준(Ratification)

협약/의정서의 채택사항을 확인하는 절차에 불과한 서명과 달리 협약/의정서에 따른 법적 의무를 부담하겠다는 선언.

 

산란일사량(Diffuse radiation)

전체일사량 중에서 직달일사량을 제외한 부분, 즉 태양면에서 직접 입사되는 일사량을 제외한 모든 방향으로 부터 도달되는 일사량을 의미하여 이는 태양광이 대기층을 지나는 동안 확산되고 지상의 물체에도 반사되어 방향이 변화되기 때문이다.

 

산성비(Acid Rain)

대기중 황산염과 질산염의 방출로 인하여 산성이 증가된 습식 또는 건식비, 산성비와 건식의 산침적물은 호수, 강 그리고 지하수를 산성화시켜 그 결과 어류 및 수상 생태계에 피해와 식물에 손상을 주어 산림을 파괴하는 작용을 하게 한다.

 

상압증류탑, 상압증류 시설(CDU / Crude Distillation Unit)

A-Tower, A-Column, Topper, Topping Column 이라고도 불리우며, 원유를 비등점의 차이에 따라 LPG, Naphtha, Kerosene, Diesel, B-C 유분으로 분리하는 시설. 이 시설은 원유를 구성하고 있는 성분들이 일정한 압력과 온도하에서 기체로 증발되려는 성질이 각각 다른점을 이용하며, 이에 따라 탑내부의 온도와 압력을 높이에 따라 점차 변화시켜(상부로 갈수록 온도와의 압력이 낮아짐) 혼합되어 있는 유분을 각각의 유분으로 분리하는 시설이다.CDU는 대기압과 비슷한 상압에서 운전되기 때문에 상압증류탑이라 불리우며, 내부에 약 40-50여개의 단(Stage)으로 구성되어 있고, 원유는 열교환기 및 Heater(가열로)를 통해 약350℃로 가열되어 투입 됨. 각각의 Tray는 기포를 발생시키기 쉬운구조의 캡형태(Bubble Cap Tray), 작은 구멍이 뚫려 있는 형태 또는 밸브가 설치된 형태의(Valve Tray) 철판으로 되어 있어 윗단에서 응축되어 내려오는 액상성분과 아랫단에서 기화하여 올라오는 기상성분의 접촉을 원활히 하여 기·액 평형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고안되어 있다.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OD / Biochemical Oxygen Demand)

수질 유기오염 지표의 하나로, 물 속의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일정기간(보통 5일)에 소비되는 용존 산소량을 말함. BOD는 생물에 의해 신진대사가 되기 쉬운 유기물에 대한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통 하천의 오염도를 나타낼 때 사용함.

 

서명(Signature)

협약/의정서의 채택사항을 단순히 확인하는 절차.

 

서부텍사스중질유(WTI(West Texas Intermediate))

WTI 원유는 대표적인 경질(API 40도), 저유황(황함량 0.40%) 원유로 미국 국내 및 아메리카 권역의 기준유종이며, 생산량은 '93년 500천b/d에서 '96년 450천b/d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임. 주로 Oklahoma의 Cushing과 Texas의 Midland를 중심으로 한 현물거래 및 NYMEX에서의 선물거래가 WTI의 주된 거래형태임. WTI 원유의 가장 큰 거래상특징은 미국내에서만 사용될 수 있을 뿐 국제시장으로의 반출이 허용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 WTI가 국제원유시장의 주요 기준유종이 되고 있는 점임.

 

석유대체에너지(Substitute Energy for Petroleum)

석유를 대신하는 에너지의 총칭으로 원자력, 석탄, LNG, 태양에너지, 지열에너지, 바이오매스에너지, 수소에너지등이 있다.

 

석유환산톤(TOE(Ton of Oil Equivalent))

열량의 비교를 위한 것으로 타 연료의 열량을 원유기준으로 환산한 양으로 원유 1㎏=10,000㎉로 환산하여 기준한 것이고 1 toe는 107㎉이다.동 단위는 무게가 환산기준이므로 통상 부피로 계량하는 석유제품, 도시가스 등은 부피를 무게로 환산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예:휘발류 1bbl의 석유환산톤으로의 전환과정 1bbl=158.988 liter, 1liter=8,300kcal이므로 휘발류 1liter는 원유 0.83kg에 해당. 따라서 1bbl=0.83kg/liter 158.988 liter/bbl=132kg(석유환산) 즉, 1bbl=0.132toe이다.)석유제품중 프로판과 부탄은 무게와 부피의 관계가 다음과 같다.프로판 1톤=12.38BBL, 부탄 1톤=10.88bbl

 

석회 가마, 시멘트 가마(Lime kiln, Cement kiln)

석회 또는 시멘트를 제조하는 수직 가마 또는 수평회전 가마.

 

선로계통(Network System)

발전된 에너지를 최종소비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선로들의 집합.

 

선진국 수뇌회의

통칭 서미트라 불린다. 제1차 석유위기 후의 세계경제의 불황극복과 안정적 확대를 목적으로 당시 프랑스 대통령의 제창에 이해 1975년부터 매년 1회 개최되고 있는 선진각국의 수뇌에 의한 회의. 참가국은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영국, 미국, 캐나다 7개국과 구주공동체(EC)

 

선택흡수면(Selective surface)

표면의 광학적 성질이 입사되는 복사에너지의 파장에 따라 다른 표면.예를 들면:- 태양광에 대해서는 높은 흡수율과 적외선에 대해서는 낮은 복사율을 갖는 표면- 장파장의 적외선을 반사하는 덮개판註 : 상기의 선택흡수면으로 구성된 집열기를 선택흡수형집열기 (selective collector)라 한다.

 

설비용량(P)

낙차와 유량의 함수로서 P(kW) = 9.8 * Q(㎥/sec) * H(m) * η(시스템효율)로 표시된다.

 

설비형 태양열 시스템

태양열로부터 온도가 상승된 집열매체의 이동을 펌프나 휀과 같은 동력장치를 사용하여 축열조나 이용부로 이동시키는 태양열 시스템.

 

설비형 태양열난방(Active solar heating)

건물에 입사되는 태양에너지의 일부를 열교한매체(heat exchange medium)로 전달하기 위하여 집열기를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펌프나 송풍기와 같이 타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기계의 사용이 필수적이며 에너지 저장조에 축열된 에너지는 기존의 난방시스템에 의해 필요한 공간으로 적절히 분배된다.

 

성형 코우크스(Formed Coke)

제철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성형탄이나 펠렛형탄으로부터 만들어진 코우크스.

 

성형탄(Briquette)

전처리를 한 미분 고체연료를 접합제(binder)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않은 채 압축기에서 압축을 하여 일정한 모양으로 만든 연료. 원탄이나 성형탄의 입자크기는 궁극적으로 사용할 연료의 목적에 맞게 변경할 수 있다.

 

셀(Cell)

화학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여 방출할 수 있는 기본적인 전기화학단위를 의미.

 

소각로(Incinerator)

반고형물, 액체, 또는 기체 연소성 폐기물을 인화소각하여 가연성 성분이 거의 없는 상태의 잔류 고형물로 배출시키는 장치.

 

소내소비(Power Station Internal Consumption, Station Service Consumption)

발전기 변압기에서의 전력손실 운휴상태에서 소비하는 전력 등을 포함한 발전소내의 부대설비에서 소비되는 전력.

 

소수력발전

우리나라의 경우 설비용량 10,000kW이하의 수력발전으로 정의.

 

송전선로/계통(Transmission network/system)

광역적인 전력수송을 위해 발전소와 배전소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로와 계통.

 

수락(Accession)

국제 조약 및 협약에 대한 수락 또는 가입. 비준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가짐.

 

수반가스(Associated Gases / Casinghead Gases)

석유와 함께 부존되어 있는 천연가스, 수반가스에는 고급 탄화수소가 많은 비율로 포함되 있는 경우가 있음. 수반가스는 지하 저유층 속에서의 온도와 압력하에서 석유에 용해(Solution Gas)되어 있거나, 혹은 저유층 속에서 석유층 상부에 가스상태로 Cap을 형성하기도 함(Gas-Cap Gas).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수반가스"를 저유층 내에서 원유에 용해된 가스로 지칭하지 않고 직접 채취한 천연가스를 지칭함.

 

수소(Hydrogen)

원소기호로 H로서 가장 가볍고 우주에서 가장 풍부한 원소임. 일반적으로 분자상태로 존재하며, 물이나 유기물의 형태로 존재한다.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만들 수 있고 1차에너지의 변환 형태로 보기 때문에 에너지담체 또는 에너지매체라고도 한다.

 

수소불화탄소(HFCs)

불연성 무독성 가스로 취급이 용이하며, 화학적으로 안전하여 냉장고 및 에어컨의 냉매, 발포, 세정, 반도체 에칭가스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는 것으로서 몬트리올의정서에 의해 사용이 규제된 CFCs, HCFCs의 대체물질임. 국내에서 소비되는 HFCs의 99%는 냉매인 HFC-134a 임.

 

수소액화(Hydrogen liquefaction)

수소는 20K이하의 온도로 낮추게 되면 액체상태로 존재한다.

 

수소에너지경제(Hydrogen energy economy)

수소에너지를 에너지매체로 하는 경제 체제.

 

수소저장(Hydrogen storage)

수소를 저장하는 방법으로서 상용화된 방법은 고압기체저장, 액체저장 등이 있다.

 

수소저장합금

수소 저항 합금은 수소와 반응하여 수소를 수소 화합물의 형태로 대량으로 흡수하는 합금이다. 온도나 압력을 바꾸면 수소의 흡수와 방출을 가역적으로 되풀이할 수 있다. 따라서 수소의 저장과 수송용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소가 방출할 때의 가스압과 반응할 때의 열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수소는 재생할 수 있어 고갈되지 않으며 더욱이 깨끗한 에너지원으로서 장래성을 촉망받고 있다. 수소 화합물을 형성하는 금속에 수소를 접촉시키면 수소 분자는 금속 표면에 흡착된다. 그중 일부는 수소원자로 분해되고 금속 결정격자 내부의 격자간 위치라고 불리는 틈새로 침입한다. 금속 속으로 흡수되는 수소의 수는 어떤 일정한 값에서 포화된다. 그러나 더욱 수소압을 높여 주면 수소 원자는 금속 속으로 침입을 계속하여 전체가 금속 수소 화합물로 바뀐다. 이것이 수소 저장 합금이다. 수소 저장 합금이 많은 수소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은 원자가 꽉 들어찬 상태인 결정의 틈새로 침입하기 때문이다. 금속 결정 중에는 수소를 흡수할 수 있는 격차간 위치가 많이 존재하고 있어, 수소 저장 합금의 경우 금속 원자수의 1∼2배 정도의 수소 원자를 흡수 할 수 있다. 이렇게 수소를 저장하는 경우에는 액체수소나 고압 수소가스의 형태로 수소를 저장하는 방법에 비해 용적의 측면에서 보면 수소의 밀도를 매우 높일 수 있으나 중량면에서는 금속이 무겁기 때문에 중량비는 매우 낮다. 그러나 수소의 중량당 에너지 밀도는 매우 높아서 에너지 저장법으로서는 유망하다고 하겠다. 수소와 금속의 반응은 수소가스의 압력과 온도에 따라 흡수 또는 방출이 진행된다. 수소가스의 압력이 평형 압력보다 높으면 반응은 흡수쪽으로 진행되고 거꾸로 이보다 낮으면 방출된다. 이때 동시에 발열 또는 흡열 현상이 생기고 흡수의 경우는 발열하고 방출될 때는 흡열이 일어난다. 그래서 이 수소와 수소 저장 합금의 조합은 단순히 수소 저장법으로서 이용될 뿐 아니라 흡열과 방열을 되풀이하는 에너지 변환 시스템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그 응용 분야로서 가장 기대를 걸고 있는 것은 수소를 연료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탱크이다. 수소는 연료로 사용해도 환경 오염의 염려가 적고 열 효율이 가솔린에 비해 금속 수소화물은 중량적으로 불리한 점은 있으나 축전지에 비하면 유리하기 때문에 여러 분야에서 응용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 수소 저장 합금과 수소를 폐쇄계에서 사용하는 콤프레서 연구도 하고 있다. 미국의 샌디아고 연구소는 이 합금을 사용한 콤프레서와 풍선을 사용하여 태양열에 의한 온수와 우물의 냉수를 이용하는 펌프를 검토하고 있다. 이밖에도 히트펌프를 이용하는 연구를 여러 기업과 연구소에서 추진하고 있다. 앞으로 히트 펌프를 이용한 냉난방 장치가 실용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출 처 : "21세기를 여는 첨단과학기술", 한국과학기술진흥재단

 

수소화 분해공정(Hydrocracking)

나프타에서 잔사유에 이르는 각종 탄화수소를 촉매를 첨가하여 고온, 고압하에 수소기류 속에서 분해하여 수소화하고, 보다 경질인 탄화수소로 전환시키는 것. LPG, 휘발류, 등유, 제트연료, 경유 등의 제품을 얻을 수 있고 게다가 그 품질도 좋아 후처리 등이 불필요하다.

 

수송 및 배분시스템, 공급망(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System, Network, Grid)

배관수송 관련설비 포함한 배관망 전부.

 

수입의존도(Rate of Dependence on Import!s)

한나라의 경제가 외국으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를 말하고, 평균 수입성향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국민소득 혹은 국민총생산중 차지하는 수입액의 비율로 표시되지만, 기준시 가격에 의한 경우는 명목 수입의존도라고 각각 불리우고 있다.

 

수전해장치(Electolyser)

전기를 이용, 물을 분해하여 수소/산소를 만드는 장치.

 

수지균형(Balance of Payments)

특정 기간내에(일반적으로 1년) 국내·외 소비자사이에 일어나는 모든 경제거래에 대한 체계적인 요약. 수지균형은 거래와 용역, 자본이동의 균형, 통화이동의 균형 등과 같은 범주로 분류된다.

 

수차

물이 가지고있는 에너지를 회전차의 작용으로 기계적 에너지로 변화하는 기계로써, 종류에는 프로펠러, 카프란, 프란시스 및 펠톤수차 등이 있다.

 

수첨분해시설(Hydrocracker / Hydrocracking Unit)

VDU에서 생산된 VGO(감압경유)를 촉매가 채워진 고온·고압의 반응기에서 수소와 반응시켜 분해하는 시설로 생산제품은 LPG, 납사, 등유, 경유이며 경유가 주 제품임. Hydrocracker는 FCC와는 달리 촉매가 고정상(Fixed Bed)으로 반응기에 채워져 있어 일정기간이 지나면 오염된 촉매를 재생시키기 위해 가동을 중지시켜야 하며, 다량의 수소를 사용할 뿐만아니라 촉매의 오염문제 때문에 B-C를 직접 처리못하고 VGO만 처리가 가능함. 그러나 Hydrocracker에서 생산된 제품은 분해반응과 동시에 탈황반응이 이루어진 초저유황 제품이며, 불포화 탄화수소도 거의 포함되지 않아 제품의 안정도도 매우 높음. Hydrocracker는 VGO를 처리하므로 원료를 만드는 VDU가 필수 시설이며 VDU에서 VGO와 동시에 생산되는 감압잔사유를 처리하기 위해 보통 VRHDS나 Coker를 같이 건설한다.

 

스털링 엔진

연료를 실린더 밖에서 연소시키는 "외연기관"의 일종으로 미리 실린더내에 주입된 동작 가스가 재생기라 불리는 축열체와의 사이에서 열을 주고 받으며 가열, 냉각을 반복하고 동작가스의 팽창, 축소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킨다. 고효율성, 저공해성, 연료다양성의 특징을 지닌다.

 

스포트가격(Spot Price)

일반적으로는 상품을 현물거래하는 경우의 가격을 말한다. 장기계약 등에 의하지 않기 때문에 수급의 상태에 따라 그 때마다 가격이 변한다. 최근에는 원유가격에 대해 쓰이는 일이 많으며 원유의 현물시장에서 거래되는 원유가격이다.

 

슬랙/클링커(Slag/clinker)

회분의 융점 이상온도에서 탄의 연소동안 녹았다가 냉각시 재고체화된 연소찌꺼기.

 

습성가스(Wet Gas)

응축된 탄화수소물을 포함하고 있는 미정제 천연가스.주: 특성사양으로서, 가스정에서 75㎥의 가스당 1리터 이상의 응축액을 포함한 천연가스이다.

 

시·아이·에프(CIF / Cost, Insurance and Freight)

수출입 상품의 비용 및 선적시부터 도착시 까지의 운임, 보험료를 포함한 가격을 말하며 공급자가 운임, 보험료를 전부 부담하는 무역거래 조건의 하나.

 

시장경제 전환 국가(Economies in Transition, EIT)

중부 및 동유럽과 구 소비에트연방 소속국가들로서 시장경제로 전환 중에 있는 국가로서 Annex Ⅰ 국가중 벨라루스, 불가리아,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루마니아, 러시아, 우크라이나, 크로아티아, 슬로바키아, 슬로비니아 등 11개국임.

 

신·재생에너지(New & Renewable Energy)

석유, 석탄, 원자력, 천연가스, 수력등 종래 사용되어온 에너지 이외에 장차 기술개발에 의하여 공급이 가능하게 될 태양에너지, 바이오매스, 동력, 소수력, 지열, 해양에너지, 수소에너지, 석탄전환연료 등을 말한다.

 

신축성체제(Flexibility Mechanism)

선진국의 의무이행에 신축성을 제공하기 위해 교토의정서에 새로이 도입된 의무이행 수단으로 공동이행제도, 청정개발체제, 배출권거래제 등을 말함. 제4차 당사국총회에서부터 교토메카니즘(Mechanisms of the Kyoto Protocol)이라 함.

 

신형 전지전력 저장시스템

대용량의 신형전지에 의하여 저부하시에 전력을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저장하고 고부하시에는 방출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을 말한다.

 

아라비안 라이트(Arabian Light)

사우디아라비아산 원유중 API도(미국 석유협회가 규정한 비중측정단위)가 34도인 원유를 말한다. 중동 각 원유중에서 생산량이 많으며, 표준적인 상태에서 원유가격을 설정할 시의 기준원유로서 채용되고 있었지만 1985년 1월의 OPEC 제73회 임시총회에서 기준원유 가격제도로 변경되었다.

 

알베도(Albedo)

어떤 한 표면에서 모든 방향으로 반사 혹은 산란된 일사량과 이표면에 입사된 총 일사량(직달+산란) 과의 비.註 : 알베도의 일반적 개념은 태양광으로 구성된 모든 전자기파의 표면 반사율이며 입사각에 따른 변화는 무시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특정 표면에서의 알베도 값은 입사각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도 있다.

 

압축 천연가스(CNG / Compressed Natural Gas)

천연가스를 냉동, 압축하여 액화한 LNG(액화 천연가스)와는 달리 고압으로 압축하여 압력 용기에 저장한 형태를 말함.

 

애노드(Anode)

산화반응(전자를 잃는 반응)이 일어나는 전극.

 

액성 천연가스(Natural Gas Liquid : NGL)

가스전설비 또는, 가스정제 공장의 분리기에서 액체상태로 회수되는 천연가스의 일부, 액성 천연가스는 에탄, 프로판, 부탄, 펜탄, 천연가솔린 및 응축액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하지는 않으며, 소량의 비탄화수소 성분도 포함하는 경우도 있음.

 

액체식집열기(Liquid-cooled solar collector)

열전달매체가 액체인 태양열 집열기

 

액화(Liquefaction)

수소화 반응법. 고체연료를 이용한 기체 합성법, 또는 용매추출법등 방법으로 고체연료를 액화 탄화수소 및 기타성분들로 전환시키는 것

 

액화석유가스(LPG, Liquefied Petroleum Gas)

석유생산, 석유정제 또는 석유화학공업의 과정에서 부생되는 탄화수소를 분리 추출해, 상온상압에서 가스상태의 프로판, 부탄 등의 혼합기체를 가압 또는 냉각해 액화한 것. 가정용, 공업용, 내연기관용 연료, 도시가스의 원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

지하 또는 해저의 가스전(석유광상)에서 뽑아내는 가스중 상온에서 액화하지 않는 성분이 많은 건성가스(Dry Gas)를 수송 및 저장의 용이성을 위해 액화한 것으로 보통 "천연가스"라 불리운다. 주성분은 메탄(CH4)으로 -162℃로 액화하면 체적은 원래의 1/600로 되어, 그 상태로 전용탱크에 수송되어 반지하 또는 지상의 대형 단열탱크에 저장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해외 천연가스 산지의 LNG공장에서 액화하는 것을 LNG선으로 도입하여 이를 국내 LNG공장에서 기체화한 후 파이프를 통해 발전소나 수용가에 공급하고 있다.

 

양극(Positive electrode)

전지에서 방전시 환원반응이 일어나는 전극.

 

양수발전

고지대에 저수지를 만들고 전력의 비수요기인 밤에 잉여전력을 이용하여 여기에 물을 모터펌프로 퍼올려 놓았다가 수요기에 저수지물을 낙하시켜 발전하는 방식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양수발전은 팔당 등 세곳에 있다.

 

양수발전량(Energy absorbed by storage pumping, Energy absorbed by pumping)

발전하기 위하여 물을 상부로 퍼 올리는데 전동펌프에서 소비되는 전력량. 여기에서 보조기기와 펌프손실 등도 포함.

 

양수발전소(Pumped Storage Power Station: Pumped Storage Plant)

전력계통의 경부하시에 잉여전력을 이용하여 하부 저수지의 물을 상부 저수지로 양수하였다가 중부하시에 발전하는 일종의 수력 발전소.

 

양수발전소의 양수효율(Conversion Efficiency of Pumped Storage Cycle, Pumped Storage Index)

양수로 얻는 발전전력량과 양수전력량과의 비율

 

에너지 시큐어리티(Energy Security)

에너지는 국가경제를 뒷바침하는 데 불가결한 것이며, 국가의 안정보장과 깊이 결부되어 있기 때문에 에너지의 안정적이고도 합리적인 공급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의미하며 에너지안보라고 한다.

 

에너지 체계(Energy System)

물리적 의미에서 고유의 특성 또는 투입물로써 에너지를 포함하고 있는 물질이나 기구이고, 에너지경제에서는 경제적 요소들의 에너지요구가 충족될 수 있도록 해 주는 기술적, 경제적 구조.일정지역의 에너지수요에 부응하기 위한 공급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공급에너지원과 공급방식이 이에 따라 결정된다.

 

에너지 탄성치(Energy Elasticity)

에너지의 수요규모와 경제성장률은 일국의 경제규모, 산업구조, 국민생활등과 밀접히 연결되어 있다. 에너지탄성치는 경제성장률과 에너지소비증가율의 비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에너지사용의 효율이 높을수록 이 수치는 작게 된다.

 

에너지 회수율(Energy Gain Factor)

설비 수명기간중의 총에너지생산량에서 총소비량을 차감한 양과 설비 건설기간중에 소요된 에너지량의 비율을 말한다.

 

에너지간 경합(Competition between Energy)

에너지시장에 있어서 에너지산업간의 수요획득경쟁을 말한다. 종래는 조명·동력·냉방은 전기로, 급탕·주방은 가스로, 난방·가열은 석유, 석탄과 같은 에너지원으로 사용했으나, 최근에는 전력, 도시가스, 석유 등 각 산업이 다른 분야로 진출해 종래 에너지간의 울타리를 넘어선 경쟁이 격화되고 있다.

 

에너지담체(에너지매체, Energy carrier)

화학물질 형태의 매체로 수송과 저장이 용이한 물질로서 대표적인 것이 수소이며, 전기도 에너지매체로 볼 수 있다.

 

에너지매체(Energy Medium)

(1) 일차에너지에서 이용계로 변환된 이차 에너지를 에너지매체(media)라고 한다. 전력, 석유제품, 연료가스 등, (2) 각종 에너지를 전하는 매체로 투명공간이나 투명체, 기계에너지는 탄환이나 용수철, 스프링, 압축기계, 화학에너지는 용액, 전기에너지는 전성 등.

 

에너지밸런스(Energy Balance)

에너지 수급통계 작성에서의 "에너지밸런스"는 플로우(Flow)의 개념으로 일정기간동안 일정지역내 에너지의 투입과 산출간의 균형을 나타내는 표를 말한다.-에너지밸런스의 작성대상지역 및 시간대는 일률적이 아니다. 대부분 일국을 대상으로 하는 연간 에너지밸런스 또는 인접국가들을 동시에 포함시키는 권역에너지밸런스가 작성되기도 한다.-에너지밸런스의 형태는 통상에너지원을 세로축, 에너지수급량을 가로축에 나타내는 행렬(Matrix)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에너지변형(Energy Transformation)

에너지형태의 물리적 변화를 줌으로서 에너지를 재생, 생산하는 것.(예:석탄액화) 영어 용법에서 "에너지 전환"이란 용어가 보통 이 의미와 에너지 형태의, 물리적 상황에서 아무런 변환도 주지 않고 에너지를 재생 혹은 생산하는 의미를 나타내는 데 자주 쓰인다.

 

에너지보존(Energy Conservation)

유한 에너지자원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취해야할 행동을 구체화시킨 정책을 의미함. 이러한 행동의 예로는 에너지절약, 에너지의 합리적 이용, 서로 다른 형태의 에너지간의 대체 등이 좋은 예임. 에너지 보존을 위해 통제적, 보조적, 정치적, 경제적 수단이 사용된다.주: 이 용어는 주로 국가적 차원에서 사용된다. 미시경제 차원에서는 일반적으로 에너지관리라는 용어가 쓰인다.

 

에너지수입의존도(Dependence of Energy on Overseas)

일반적으로 에너지수입 의존도는 1차 에너지공급량에서 순수입에너지의 비중을 의미하나, 국내 수입의존도는 1차 에너지소비중 수입에너지의 비중을 의미한다.

 

에너지원(Energy Resources)

에너지로 가능한 자원을 뜻하며 열에너지, 빛에너지, 운동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화석연료나 핵분열 및 대체에너지로서 수력발전, 태양에너지, 풍력에너지, 조력에너지, 지열에너지 등을 말한다.

 

에너지원단위(Energy Intensity)

일정 부가가치(혹은 생산액)를 생산하기 위해 투입된 에너지의 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부가가치 원단위로서 통상 부가가치 백만원(혹은 US1,000$)당 투입에너지(toe)로 표기한다.

 

에너지의 단계적 이용(Energy Cascade)

에너지를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공정에서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한 공정에서 사용한 후 남은 에너지가 이용가능하면 다음 공정에 차례로 이용하도록 하기 위한 일련의 에너지 흐름 또는 에너지량으로 에너지 사용과정에서 총괄효율을 확정화시키는 것이 목적임.주: 열에너지의 경우 각 단계에서의 초기에너지 앤트로피 증가는 열역학적 과정에 의해 앤탈피의 감소를 가져온다.

 

에너지의 형태(Forms of Energy)

고체연료(Solid Fuels), 액체연료(Liquid Fuels), 가스연료(Gaseous Fuels), 수력전기(Hydropower), 핵에너지(Nuclear Energy), 전기에너지(Electrical Energy), 태양에너지(Solar Energy), 생물에너지(Biomass Energy), 풍력에너지(Wind Energy), 해양에너지(Ocean Energy), 지열에너지(Geothermal Energy), 핵융합(Nuclear Fusion)주 : 이러한 일반적인 용어들은 비평을 야기시키므로 각각의 에너지형태는 그 자체의 특정한 명칭으로 불러야 된다고 생각된다. 예를 들어, "새로운 에너지"란 용어는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에너지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더 체계적인 방법에 사용되거나 보다 정교한 기술의 도움으로 이루어졌다. 마찬가지로 "고전 에너지"(혹은 전통에너지라고 불린다.) -종종 화석 연료나 부분적으로 전기에너지로 언급된다.-는 매우 상대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고 시간과 함께 반전된다. 재생에너지자원은 끊임없이 재생가능하고(끝없는 변화), 짧은 주기에서 재생할 수 있으며(예를 들어 1년, 한세대 혹은 여러 세대에 걸치기도 하며 부분적으로나 전체적으로 재생이 될 수 있다."유동에너지" 그리고 "저장에너지" 등의 명칭은 때로는 "재생에너지"와 "비재생에너지를 구별하는 애매함과 같이 언급된다. 또한 "soft energy source"와 그 반대인 "hard energy source"라는 용어들은 공학적이나 경제적인 것 보다는 오히려 사회학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모든 일반적인 용어들은 매우 직설적이고 질적인 방법에 단지 유용하게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것들이 양으로 표시될 때, 그것들이 포함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

 

에너지절약(Energy Saving)

에너지 공급자와 사용자가 에너지의 낭비를 줄이기 위해 채택한 수단 또는 그로 인한 효과. 여기에서는 소극적인 방법(예:단열)과 적극적인 방법(예:폐열이나 가스의 활용) 또는 조직적인 방법(예:수송수단의 변화)등이 있다.

 

에너지절약전문기업(ESCO(Energy Service Companies) )

에너지사용자를 대신해 에너지절약 시설에 투자하고 이에 따른 에너지 절감액으로 투자비를 회수하는 기업.

 

에너지탄소집약도

에너지소비량에 대한 탄소배출량 비율.

 

에너지효율(Energy Efficiency)

일정한 에너지 최종이용량의 공급에 대해, 몇배의 에너지원이 필요한가를 표시한 비율을 말한다. 이것은 에너지의 변환, 이차에너지의 수송율(손실율을 뺀 것), 이용계에 있어서 변환용의 3단계에 의해 결정된다 환경오염의 견지에서 화석연료등은 에너지효율이 떨어져도 크린에너지로서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에너토피아(Enertorpia)

에너지와 유토피아의 합성어로, 일반적으로는 어떤 거주지역을 체계화하여 에너지나 자원의 자급성을 갖고, 에너지절약 사고방식에 기초한 설비를 갖춘 에너지적 유토피아를 말한다. 주위의 생태계를 파괴하지 않는 태양 등의 자연에너지 이용이나 폐기물의 재이용을 행한다.

 

에이·피·아이 온도(API Degree / API Number)

원유나 석유제품의 비중을 나타내기 위한 지표로서, 미국석유협회(API : American Petroleum Institute)가 제정한 화학적 석유비중 표시방법. 일반적으로 탄화수소가 많을수록 비중이 커지는데, 보통 API 34도 이상의 원유를 경질원유, API 30-34도의 원유를 중질원유, API 30도 이하의 원유를 중질원유로 분류함.

 

엑써지(Exergie)

일반적으로 에너지는 기계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부분과 변환할 수 없는 부분으로 되어 있다. 이중 전자는 엑써지라고 명명되는 유효에너지이고, 후자는 아너지(Anergy)라고 불리운다. 연료에 포함되는 화학에너지는 직접 기계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은 어려우나, 전기에너지를 거쳐 기계에너지로 바꿀 수 있다. 이 경우 연료는 엑써지를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엘·에스·더블유·알(LSWR / Low Sulfur Waxy Residue)

저유황 고유동점의 연료유(B-C)를 말함. 유황함량은 보통 0.3wt%이하로 초저유황이나 왁스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상온에서는 고체로 굳어지기 때문에 사용 또는 저장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보온시설이 필요함.

 

엠·티·비·이(MTBE / Methyl Tertialry Butyl Ether)

이소부틸렌(iso-Butylene) 형태의 올레핀과 메탄올을 반응시켜 생산되는 화합물로 분자에 산소원자를 함유하고 있어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등의 발생을 줄일 목적으로 휘발유 Blending에 사용됨. 옥탄가가 약118로 매우 높아 휘발류의 옥탄가 향상에도 기여함.

 

역률(Power Factor)

교류 전기기구에서 소비전력을 측정할 때 전압 교류에 대한 watt의 비 혹은 피상전력에 대한 유효전력의 비를 역률이라 한다. 소수점으로 표현되며 역률은 유효전력에 대한 무효전력의 크기를 가늠할 수 있는 척도이다.

 

역청탄(Tar Sand / Oil Sand)

역청이나 높은 점성의 다른 원유를 함유하고 있는 퇴적암. 그러나 일반적인 생산방법으로는 함유된 원유를 채유할 수 없음.

 

연간에너지절약(TOE)

연간전기생산량을 오일로 환산한 양 TOE = Ea(MWh) * 0.25(환산계수)

 

연간전기생산량(Ea)

1년간 생산된 전기량 Ea(kWh) = P(kW) * 8,760(hr) * Lf(가동율)

 

연료가스(Fuel Gas)

연료가스는 환경이 허용할 수 있는 연료로서 석유와 석탄 등을 원료로 해서 가스화에 의하여 얻어진다.

 

연료소비율(Fuel Consumption Rate)

줄여서 연비라고도 말한다. 단위시간, 단위출력당의 연료소비량, 보통 g/psh, cc/psh로 나타낸다. 자동차에서는 연료단위량당의 주행거리 km/ℓ로 나타내기도 한다.

 

 

연료유(Fuel Oil)

석유제품중 에너지발생을 위한 연료로 사용되는 유종을 말하며 이에는 휘발류, 등유, 경유, B-C유, 제트류가 포함된다. 통상 석유제품은 연료유, LPG, 비연료유로 구분된다.

 

연료전지(Fuel Cell)

연료(주로 수소)와 산화제(주로 산소)를 전기화학적으로 반응시켜 그 반응에너지를 전기로 직접 빼내는 직류발전장치이다. 연료의 연소에너지를 열로서가 아니고, 전기에너지로서 이용하는 것으로서, 전기자동차용 연료전지나 연료전지발전소 등의 고성능이고 경제성이 뛰어난 연료전지의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열량(Heat Quantity of Heat)

고온의 물체에서 저온의 물체로 이동하는 에너지의 일종으로, 역학적 일과 구별하여 내부에너지의 변화를 가져오는 에너지를 열이라고 하고, 그 출입량을 열량이라고 부른다.

 

열매체(Heat Transfer Medium)

열량운반의 매체로서 쓰여지는 유체로 취급할 수 있고 열적으로 안정되며, 매체 단위중량당의 열용량이 크고, 압력범위도 적당하며, 전열계수도 높다. 장치에 대한 부식성이 적고 불연성, 가격이 저렴, 무독한 것이 필요하다. 공업적으로는 연도가스, 열공기, 수증기, 열유, 보일러 dowtherm 등의 폐열회수에 이용되는 것도 있다.

 

열병합발전(Cogeneration / Co-Gen)

발전을 통하여 전력을 생산함과 동시에 고압 스팀 및 온수를 생산하는 시설을 말함. 단순히 전력만을 생산하는 것과 비교해 보면 2배 가까운 열효율(약 60%∼70%)을 얻을 수 있다.

 

열부하

건물에서 냉난방이나 온수급탕 등을 위해 필요한 에너지 량.

 

열분해(Pyrolysis)

혐기상태와 고온 상태(200℃ 이상)에서 바이오매스를 열로 분해하는 것을 말한다. 이 분해에 의한 생성물로는 일반적으로 산, 알코올, 알데히드, 페놀 등의 복잡한 혼합액체가 얻어지는 데, 이 혼합액체는 적절한 공정에 의해 분리되어 진다. 고체형태의 생성물질은 목탄 등을 얻을 수 있는데 이는 제철공정에서 코크스의 대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기체형태의 생성물질은 열량이 약 15MJ/㎥정도의 CO, 수소 메탄 그리고 그외 기체의 혼합상태로 얻어진다.

 

열분해(Thermal Cracking)

촉매를 이용하지 않고 고온으로 탄화수소분자를 분해하는 방법으로 생산되는 제품이 Olefin(불포화 탄화수소)을 많이 함유하여 안정성이 떨어짐. CC, Delayed Coker, Visbreaker등이 대표적인 열분해 시설임.

 

열분해가스(Cracked Gases)

액체 또는 탄산수소가스를 열 또는 열-촉매 분해하여 생성된 가스연료.

 

열분해공정(Thermal Cracking)

고옥탄 가솔린 제조공정. 비등점 315-560℃의 가스오일을 원료로 사용하여 제올라이트 촉매상에서 반응시켜 가솔린을 얻는다. 최근에는 금속성분에 강인한 촉매들이 개발되어 잔사유를 원료로 사용하는 공정이 상업화 되었다. 이 공정에서 사용되는 반응기는 유동상(Fluidized Bed)반응기로서 고체촉매를 사용하는 기체반응에 사용되는 특수한 형태의 반응기이다. 따라서 접촉분해공정을 유동접촉분해(Fluidized Catalytic Cracking : FCC)라고 부른다.

 

열수지(Heat Balance)

열평형, 열정산, 공급열량과 그 사용상태를 명확히하여 열의 출입량 관계를 정산하는 것. 이것에 의하여 열의 분포상태를 알고, 열손실을 줄여 이것을 유효하게 이용하고 연료경제를 꾀하며 보일러 또는 공업요로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초자료가 얻어진다. kcal/연료(kg 또는 N㎥) 혹은 백분율을 쓴다.

 

열에너지(Thermal Energy)

에너지 형태의 하나로서 열에너지의 대부분은 증기기관과 내연기관과 같은 열기관에 의하여 역학적 에너지로 바뀌어 이용되는 외에 난방, 조리, 온수 등의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기본적인 에너지이다. 역학적 에너지는 마찰열 등의 방법으로 100% 모두 열에너지로 바뀐다. 모든 에너지는 최종적으로 열에너지로 되어 주위로 방출된다.

 

열펌프(Heat Pump)

지하수, 표면수, 흙, 외부공기, 환기된 공기와 같은 저급의 열원으로부터 작동유체로 열을 전달하고 기계적 에너지와 같은 고급에너지를 응용함으로써(고온측에서) 열을 방출하기 이전에 작동유체의 온도를 높이거나 열 함량을 증가시키는 장치.

 

열회수 시스템(Heat Recovery System)

폐열보일러등 열교환에 의하여 폐열을 회수하는 방식.

 

열효율(Thermal Efficiency)

공급된 열에너지에 대한 열에너지에 대한 열에너지의 비율을 열효율이라고 한다. 보일러 등의 여열 이용설비에서의 흡수열량, 소각에 의한 발생열량에 대한 비율을 %로 나타내어 열효율로 한다.

 

예상매장량(Probable Reserves)

물리탐사와 탐사정 시추에 의해 확인된 저류암과 석유의 특성에 의해서 계산된 매장량. 개발기술이나 장비의 발달에 따라 변동한다.

 

오일 쉘(Oil Shale)

해모공암이라고 하며, 역청질의 고분자화합물을 포함한 공암으로 건류에 의해 석유와 같은 성질의 기름이 얻어진다. 미국에 특히 많이 매장되어 있고 세계도처에 비교적 널리 분포되어 있다. 원유회수와 잔해의 처리에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실용화되지 않았지만 최근 기술진보와 석유위기 이후의 석유가격 비등으로 인해 주목되고 있다.

 

오일샌드(Oil Sand)

원유를 포함한 다공질의 사암으로, 원유가 천연아스팔트화되어 있는 것은 타르샌드라고도 한다. 열처리 또는 기타 방법으로 원유를 추출해 정제하면 보통의 석유에 가까운 것이 얻어진다. 종래 개발비용이 비쌌었기 때문에 그다지 실용화되지 않았었지만 석유위기후 원유가격 급등에 의해 실용화가 추진되었다.

 

오존(Ozone)

산소분자와 산소원자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가스, 질소 산화물과 탄화수소같은 오염물질의 존재하에서 강한 태양광선이 작용하면 생성될 수 있다. 성층권에서는 오존층이 지상에 도달할 강한 자외선을 감소시킨다. 오염된 대기권에서 생성된 오존은 식물과 건강에 해가 되며 대기중 여러 화학반응(예:질소의 산화)을 일으킨다.

 

옥탄가(Octane Number)

휘발류에 있어서 안티노크성이 고저를 표시하는 상대적인 척도를 말함. 옥탄가는 이소옥탄(Iso-Octane)의 옥탄가를 100, 노말헵탄(n-Heptane)의 옥탄가를 0으로 정한후, 휘발류와 같은 안티노크성을 갖는 표준연료(이소옥탄과 노말헵탄의 혼합물)에 함유된 이소옥탄의 부피%로 표시함. 옥탄가가 높을수록 안티노크성이 높은 것을 의미함.

 

온실효과(Greenhouse effect)

파장이 2.5μm이상인 적외선 영역에서는 투과율이 아주 낮고(열손실을 방지) 다른 영역에서는 투과율이 좋은 유리 혹은 그밖의 재료로 이루어진 온실에서 태양열을 흡수한 물체로부터 복사된 적외선 에너지(열)가 보존되는 효과를 일컫는다. 또한 진공상태에서는 흡수된 에너지의 절반가량이 다시 닫힌 공간으로 재복사된다.註 : 대기중 이산화탄소의 증가때문에 발생되는 온실효과는 지구표면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도 있다.

 

외연기관(External Combustion Engine)

외연 주기에 따라서 작동되는 기관. 연료의 연소로부터 나오는 뜨거운 연소 생성물이 열기관 내에서 동력적 왕복운동과 추진력을 일으키는 작동매체(통상적으로 스팀 또는 공기)와 분리되어 있으나 열교환이 될 수 있도록 구성된 형태이다. 예로서는 스팀터빈, 왕복 스팀 기관, 외연 가스 터빈과 스털링(stiriling)엔진이다.

 

용적율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물의 연면적(대지에 2이상의 건축물이 있는 경우에는 이들 연면적의 합계로 한다)의 비율.용적율 = 건축물의 연면적 / 대지면적 * 100

 

원유(Crude Oil)

천연산 광물성 기름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탄화수소로 되어있다. 상압증류 후에 잔류하는 파라핀 왁스나 역청의 함유량에 따라 파라핀계, 아스팔트계, 혼합계로 나누어진다. 현재의 전문용어상으로 원유(Petroleum)는 액체탄화수소뿐만 아니라 기체나 고체 탄화수소도 포함한다.

 

유동상식 접촉분해시설(FCCU / Fluid Catalyst Cracking Unit)

유동하는 고온의 촉매를 사용하여 중질유를 분해하는 시설로, 원료로는 보통 VGO를 사용하여 흔히 VGO FCC라고도 함. 이 시설은 휘발유생산을 주 목적으로 하는 시설로 생산되는 주요제품은 고옥탄가의 휘발유 및 LPG유분, 경유유분 등임. FCC의 초기 기술로는 촉매문제로 인해 연료유를 직접 투입하지 못하고 감압경유를 투입하여 분해하였으나, 현재는 촉매기술 및 FCC에 대한 기술이 많이 발달하여 연료유를 직접 분해할 수 있는 RFCU가 널리 보급되고 있음.

 

유동층 연소(Fluidized Bed Combustion)

탄을 연소시키는 방법으로 연소가 안되는 입자를 포함한 연탄층이 위로 흐르는 공기에 의해 부유상태에 있게 됨. 연소가 안되는 입자는 일반적으로 석탄회분이거나 석회석과 같은 유황수용제임.

 

유량지속곡선(Flow duration curve)

어느 유량의 값보다 같거나 큰 값이 전체시간에 몇 %에 해당하는가를 나타내는 곡선.

 

유역(Watershed or basin)

하천의 임의 단면을 통과하는 유량에 직접적인 공헌을 하는 지역의 경계.

 

유효에너지(Usage Energy)

일차에너지(에너지자원)를 사용하기 쉬운 전력, 가솔린, 등유, 도시가스 등으로 바꾸어 공장과 일반가정에 공급되는 것을 이차에너지라고 한다. 이것을 에너지매체(Energy Medium)라고도 한다.

 

육불화황(SF6 )

상온에서 무색, 무취, 무독의 기체로 500℃ 이상의 열에서도 안전하나 불순물이 들어가면 분해되어 유독하며, 반도체 생산공정과 가스절연개폐기 및 가스절연변압기에 사용됨.

 

음극(Negative electrode)

전지에서 방전시 산화반응이 일어나는 전극.

 

응축액(Condensate)

지하 저유층에서 가스상태로 존재하며 지상의 조건하에서는 액체로 변하는 탄화수소, 주로 펜탄 및 보다 무거운 물질들로 구성된다. 응축액을 액성 천연가스와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함.

 

의무이행기간(Commitment Period)

감축목표를 달성하는 기간. 현행 교토의정서의 경우 5년 단위로 의무이행기간을 설정, 2008∼2012년을 1차 의무이행기간으로 규정하고 있음 1차 의무이행기간 : 2008-2012 2차 의무이행기간 : 2013-2017 3차 의무이행기간 : 2018-2022

 

의정서(Protocol)

법률과 시행령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협약을 구체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내용을 담은 문서를 말.

 

이산화탄소 저감효과(탄소톤)

연간에너지절약량을 CO2 저감량으로 환산한 양 = TOE * 0.8374(환산계수)

 

이온화 경향(Ionization Tendency)

이온화 경향(Ionization Tendency)은 이온화의 난이도로서 이온화하기 쉬운 것을 이온화경향이 크다고 하며, 일반적으로 금속원소가 양이온이 되어 용액속에 들어가려는 경향을 말합니다. 이 경향은 금속원소의 종류, 용액의 농도에 따라 다르므로, 정량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일정한 조건하에서의 전극전압을 비교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물에 대한 이온화경향의 크기에 따라 나열한 원소의 계열을 이온화서열 또는 전기화학계열이라고 합니다. 이 계열의 앞쪽에 있는 것일수록 이온화경향이 크며, 산화되기 쉽습니다. 어떤원소가 그보다 이온화 경향이 작은 이온을 함유하는 수용액과 접하면 이온의 치환반응을 일으킵니다. 예를 들면, 아연과 구리, 구리와 은에서는 아래와 같이 치환됩니다. Zn + Cu2+ → Zn2+ + Cu, Cu + 2Ag+ → Cu2+ + 2Ag 또, 수소이온의 경우에는 수소기체를 발생한다.예를 들면,Zn + 2H+ → Zn2+ + H2↑ 가 되는데, 이것을 일반적으로 설명하면 '수소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은 묽은 산에 녹아 수소를 발생'하는 것이 됩니다. 또한 마찬가지로, 수소보다도 이온화경향이 작은 금속은 보통의 묽은 산과는 작용하지 않고, 산화되어 산에 용해됩니다. 이온화경향은 어떤 일정 조건하에서 비교한 것이기 때문에 조건이 달라지는 경우, 즉 용액의 성질(예를 들면, 산화력의 유무, 음이온의 종류 등)이 변한 경우에는 그대로 적용할 수 없을 때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크롬의 금속조각은 수소보다 이온화 경향이 커도 진한 질산에는 녹지 않습니다. 이것은 질산에 의해 금속의 표면이 산화되어 산화피막을 만들어 내부를 보호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이차오염(Secondary Pollution)

오염원으로 배출되는 배가스, 배수 폐기물, 잔류농약 등은 각각 대기오염, 수질오탁, 토양오염 등을 일으키며 일차오염이라고 한다. 자동차 배기가스가 태양의 직사를 받아서 광화학 반응에 의해 유독한 옥시덴트가 생기거나 배수증의 무기수온이 변화되어 유독한 유기수온이 생기는 경우는 이차오염으로 된다.

 

이코노마이저(Economizer)

여열이용시설의 일종, 가열로나 보일러에 있어서 연소배가스의 여열을 이용해서 연소용 공기나 연료의 예열을 하거나, 또 보일러의 경우에는 급수를 예열해서 연료 소비량을 절약하는 시설.

 

이행부속기구(Subsidiary Body for Implementation, SBI)

국가보고서 제출, 재정·기술지원방안 등 협약의 이행과 관련한 문제에 관한 권고안을 만들어 당사국총회 또는 요청이 있을 경우 다른 부속기구에 제출하는 역할을 수행함.

 

일사량계(Pyranometer)

표면에 입사되는 복사에너지를 측정하는 기구이며 수평으로 설치시 전천(全天)일사량을 측정할 수 있다.註 : 이 기구는 보통 전천(全天)일사량을 측정하는데 쓰이지만 썬서(senser)를 직달일사로 부터 적절히 가릴 경우에는 산란일사량을 측정할 수도 있다.

 

일산화탄소(Carbon monoxide)

냄새와 색깔이 없는 독성의 가스. 대기중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일산화탄소는 유기물질의 불완전연소로 부터 발생한다.

 

일차에너지(Primary Energy)

가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급되는 에너지. 석유, 석탄, 원자력, 천연가스, 수력, 지열, 태양열 등을 말한다. 이에 반해 일차에너지를 전환 가공해 얻을 수 있는 전력, 도시가스, 석유제품 등을 이차에너지라 부른다.

 

일차에너지소비(Primary Energy Consumption)

에너지 국내생산 및 순수입, 재고의 중감을 포함한 소비량으로 최종 에너지소비와 전환손실을 합한 양과 같다.

 

일차오염(Primary Pollution)

공장, 발전소 등의 폐가스, 자동차 배기가스등과 같이 최초로 발생하는 오염을 가리킨다.

 

입사각(직달일사량) (Angle of incidence)

태양면의 중심부와 광조사된 표면의 한점을 잇는 선과 그점에서 조사된 표면에 수직인 선과의 사이에 이루워지는 각.

 

입사기간(Irradiance period)

어떤 물체의 표면이 입사되는 태양에너지에 노출되어 있는 기간

 

입사에너지(Irradiance)

단위면적, 단위시간에 입사되는 태양에너지의 밀도. 단위는 w/㎡ 이나 J/㎡.s로 표시된다.註 : 어떤 일정한 시간동안 적분된 입사에너지를 일사량 이라고 부른다. 보통 사용되는 단위는 시간별, 일(日)별 혹은 월(月)별 일사량으로 표기된다.

 

입사에너지비(Irradiance ratio)

실제로 입사되는 복사에너지와 이론적으로 가능한 최대 입사에너지와의 비.註 : 이론적으로 가능한 최대 입사에너지의 지속기간은 쉽게 계산될 수도 있으며, 또한 그지역의 기상대에서 얻을 수도 있겠으나 후자의 경우 지형, 지물로 인한 차폐효과등에 따른 수정이 필요할 수도 있다.

 

자발적협약(Voluntary Agreement, VA)

에너지를 생산, 공급, 소비하는 기업과 정부가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배출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협약으로서 기업은 실정에 맞는 목표를 설정하여 이를 이행하고 정부는 기업의 목표 이행을 위하여 자금·세제지원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기업의 노력을 적극 지원하는 비규제적 제도.

 

자연형 태양열 시스템

태양열로부터 온도가 상승된 집열매체의 이동을 펌프나 휀과 같은 동력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자연순환에 의한 태양열 시스템.

 

자연형 태양열난방(Passive solar heating)

건물의 구성체(적절히 설치된 창, 트롬벽등)을 직접 사용하고 자연적인 물리현상(열전도, 자연대류 및 복사) 에 의하여 난방이 가능한 태양열 난방.

 

잠재적 개발가능 매장량(Potentiaily exploitable deposit/Potentially exploitable resource)

장래에 경제적으로 개발할 가치가 있다고 추정되어지는 매장물이나 자원.

 

저온 코우크스(반성 코우크스)(Low Temperature Coke(semi coke))

500-800℃사이의 저온에서 석탄을 건류하고 남은 고체 잔유물 갈탄의 경우 건류온도는 400-600℃이며 토탄의 경우는 350-550℃를 최저온도로 잡는다.

 

저유황 중유(중유, B-C유, 연료유)(LS B-C / Low Sulfur B-C)

유황성분 1.0wt% 이상의 B-C유를 말하며 주로 보일러 연료, 발전소 연료등으로 사용한다.

 

적외선복사열(Infrared radiation)

파장이 760nm 1mm 사이에 속하는 복사열을 의미하며, 여기서 태양광에서의 적외선을 대략 760nm에서 5㎛사이 이고 지구상의 기타 적외선의 범위는 5㎛이상이다. 그리고 파장이 50㎛에서 1mm사이를 "원적외선" 또는 "밀리미터 이하" 복사열 이라고도 일컫는다.

 

전기로(Electric Furnace)

야금을 위하여 널리 사용되는 로로서 전기로부터 열을 공급받는 것.주: 처리중에 있는 물질에 열 에너지를 유입시키는 주요수단들은 다음과 같다.(주의할 점은 단지 우발적으로 로 자체를 가열한다는 것임): 직접적인 또는 잠긴 전기 아아크, 간접적인 또는 직접 저항 아아크(전기로에서 생긴 광석 찌꺼기를 지용융할 때 쓰는 것과 같음), 저항 가열, 유도 가열, 유전성 가열, 라디오 주파수 또는 초단파 가열, 프라스마에 의한 가열 등.

 

전기분해(Electrolysis)

용융 상태 또는 용해 상태에 있는 물질에 잠긴 두 전극 사이에 전류를 통과시켜 화학물질들을 분해, 환원, 산화 또는 전위하는 과정.

 

전기이중층 캐패시터(EDLC)

supercapacitor의 일종으로 전기이중층에 전하가 물리적인 흡착에 의하여 전기를 축전하고 방전하는 장치.

 

전력예비율

전력예비율이란 총 전력공급능력에서 최대전력수요를 뺀 것을 최대전력 수요로 나눈 것이다.전력예비율 = 총공급전력량 - 최대전력수요 / 최대전력수요 * 100전력예비율은 당시 쓰이고 있는 전기보다 얼마나 추가전력을 더 공급할 수있느냐를 보여주는 수치로 예컨데 현재 100만큼의 전기를 생산해 공급할 수 있는데 소비되고 있는 전력은 80이라고 치면 이때 20만큼의 전기공급 시설은 쓰이지 않고 남아 있는 것으로, 전력 예비율 25%임.

 

전천일사량(Global radiation)

어떤시각에 태양과 하늘에서 각각 수평면에 도달한 직달 및 산란 일사량의 함.

 

전해질(Electrolyte)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전자의 이동은 없고 이온을 이동시키는 매체.

 

접촉개질공정

상압증류공정으로부터 생산되는 나프타 중에는 주로 노말 파라핀이나 측쇄가 적은 파라핀과 나프텐 성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방향족이나 측쇄가 많은 탄화수소로 변환하면 옥탄가가 높은 휘발류를 얻을 수 이렇게 탄화수소의 구조를 바꾸어 옥탄가를 높이는 것을 접촉개질공정이라 한다.접촉개질공정에서는 촉매독의 원인이되는 황분과 금속(특히 비소)을 제거하기 위해 연료유(나프타)를 나프타 수소화 탈황장치에 의해 전처리하여 반응기로 보낸다. 반응이 완결된 반응생성물은 냉각되어 가스분리조에서 액체와 가스로 분리되며 분리된가스는 수소를 주성분으로하는 가스로서 공정자체에 사용후 잉여가스는 나프타 수소화 탈황장치 등 수소사용공정으로 공급하거나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분리조에서 분리된 액상반응생성물은 수소, 메탄, 에탄, 프로판, 부탄 등의 경질 탄화수소유분을 안정탑 상부로부터 분리하여 경질가스와 LPG연료를 부산물로 생산하고 안정탑 하부로부터는 증기압이 조정된 제품(개질휘발유)을 추출한다. 촉매재생방식에서는 촉매를 유동상태에서 사용하는데 사용중인 촉매의 일부를 독립된 재생탑에서 연속재생시켜 반응기로 순환시킬 경우 촉매의 활성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옥탄가가 높은 개질 휘발유를 생산할 수 있다.

 

접촉개질시설(Reformer)

CDU에서 생산되는 납사(Naphtha)는 화학적 성질상 휘발유 유분에 속하나 옥탄가가 낮아(RON 60-70) 휘발류로 사용하지 못함. 따라서 탄소수가 6개인 중질납사(HSRN : Heavy Straight Run Naphtha)를 귀금속 촉매를 사용하여 고온, 고압 (약 450-530℃, 약 7-35기압)에서 개질시킴으로써(포화 탄화수소를 방향족 탄화수소 중심의 불포화 탄화수소로 개질) 옥탄가가 높은 (RON94-104) Reformate를 생산하여 휘발유 Blending에 사용함.Reformer에서 생산되는 제품을 Reformate라 하며 주요 성분이 방향족 탄화수소 이므로 여기에서 방향족 화합물인 B.T.X.(Benzene, Toluene, Xylene)을 추출하기도 함. 즉, Reformate는 휘발류 Blending 또는 B.T.X.생산에 사용됨. Reformer에서는 부산물로 LPG와 수소가 다량 발생함.

 

접촉분해공정(Catalytic Cracking)

고옥탄 가솔린 제조공정. 비등점 315-560℃의 가스오일을 원료로 사용하여 제올라이트 촉매상에서 반응시켜 가솔린을 얻는다. 최근에는 금속성분에 강인한 촉매들이 개발되어 잔사유를 원료로 사용하는 공정이 상업화되었다. 이 공정에서 사용되는 반응기는 유동상(Fluidized Bed)반응기로서 고체 촉매를 사용하는 기체 반응에 사용되는 특수한 형태의 반응기이다. 따라서 접촉분해공정을 유동접촉분해(Fluidized Catalytic Cracking : FCC) 라고 부른다.

 

정격용량(Rated capacity)

특정조건에서 방전할 때 전지가 방출하는 전하량으로, 보통 제조사에서 제시하며 단위는 Ah임.

 

정부간협상위원회(Intergovernmental Negotiating Committee, INC)

적절한 의무사항을 포함하는 기후변화협약 제정을 위해 1990년 12월 제 45 차 유엔총회에서 기후변화협약 제정을 위한 정부간협상위원회를 성립. INC는 1991년 2월 1차 회의를 필두로 1992년 5월까지 6차에 걸쳐 협상이 진행되었으며, 제 6 차 회의 협상 최종회의에서 기후변화협약 최종안을 결정. INC협상은 협약체결 이후에도 제 1 차 당사국총회(COP 1) 개최까지 6차례 더 진행.

 

정유소 가스(Refinery gases)

석유나 석유제품의 정제 및 제조 공정중에 생성되는 가스, 주로 C1-C4까지의 탄화수소로 구성되며, 가변적인 분량의 수소, 질소 및 유화수소 약간량을 포함.

 

정전용량(Capacitance)

capacitor가 단위 전압 당 가질 수 있는 전하량으로 단위는 F(패럿)임.

 

정제(분리)(Cleaning(separation))

석탄의 광물질(회분) 함량을 줄이기 위한 처리. 석탄의 정제과정에서 원료물질은 그들이 갖는 물리적 혹은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라 (기본)성분별로 분리된다.

 

제1차석유위기(The First Oil Crisis)

1978년 가을, 당시 셰계 제2의 석유수출국인 이란 국내에 정국불안이 일어나, 석유수급은 핍박해 졌다. 1979년 초에는 이라네 신정권이 탄생하여 원유생산의 억제정책을 폈다. 이에 다른 아랍제국도 추종하여 동시에 가격의 인상이 잇달았기 때문에, 1980년 초에는 석유의 공시가격이 전년의 두배이상이 되었다. 이를 제2차 석유위기라 한다.

 

제트유, 여객기용(JA-1 / Jet A-1)

주로 민간 여객기에 사용하는 연료유로 등유유분에 여러 가지 첨가제를 넣어 만듦.

 

제트유, 전투기용(JP-4)

주로 군용 전투기에 사용하는 연료유로 등유와 납사를 각각 50%씩 혼합한 유분에 여러 가지 첨가제를 넣어 만듦.

 

제트유, 전투기용(JP-8)

주로 군용 전투기에 사용하는 연료유로 JA-1과 같이 등유유분에 여러 가지 첨가제를 넣어 만들며, JP-4에 비해 안정성이 우수함.

 

주배관(Transmission Line / Pipeline)

액체연료 및 가스연료의 장거리 수송을 위한 고압배관, 일반적으로 부대설비 포함.

 

중간유분

원유에서 정제된 각 제품중 가솔린, 나프타를 경질유분, B, C, 중유를 중질유분이라고 말하는 데 대하여 등유, 경유, A중유를 중간유분이라고 말하고 있다.

 

중금속(Heavy Metals)

수은, 납, 세레늄, 그리고 크롬과 같은 원자량이 큰 원소. 비소, 베릴륨, 망간, 아연, 구리, 니켈, 카드뮴, 탈륨, 바나듐, 그리고 코발트도 가끔 포함된다. 이러한 원소들은 보통 산업공정에서 사용되며 환경으로 배출되면 생명체에 흡수 축적되어 독성을 나타낸다.

 

중수(Heavy Water)

D2O 또는 수소의 동위원소인 중수소로 이루어진 물. 보통물에는 1/6000정도의 비율로 존재하며 어떤 원자로에서는 순수 중수를 감속재로 사용.

 

중유(Heavy Oil)

원유를 증류해 가솔린과 등유, 경유 등을 추출한 후에 남는 상압잔사유에서 얻어진다. 인화점이 높은 연료유.

 

-B/B(B-B/Bunker-B)

경유유분 30%, B-C 유분 70%를 혼합시킨 연료유.

 

중유-LRFO(LRFO(Light Residue Fuel Oil))

(B-B 참조)

 

중질(重質)원유(Heavy Distillate)

원유는 비중에 따라 경질(經質), 중질(中質), 중질(重質) 원유로 구분되되 불린다. 중질원유로서는 아라비아헤비를 포함한 이란 헤비, 쿠웨이트, 카프지원유를 들수 있다.

 

중질유 분해공정

비점이 높고 분자량이 큰 탄화수소를 분자량이 작은 저비점의 경질 탄화수소로 전환시키는 것을 분해라고 하는데, 석유정제에서는 주로 감압경유, 상압잔사유 또는 감압잔사유를 분해하여 고옥탄 가솔린 및 등경유를 제조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중질유 분해공정은 다음과 같이 열분해공정, 접촉분해공정 및 수소화 분해공정으로 분류할 수있다.

 

중질유 열분해시설(Delayed Coker)

B-C(상압잔사유)나 Vacuum Residue(감압잔사유)를 반응기에 투입한 후 고온·고압으로 열분해시키는 시설로 주 생산품은 LPG, 납사, 경유 및 고체 Coke임. 촉매나 수소없이 열분을 시키므로 분해율이 낮을 뿐만아니라 생산된 제품들도 불포화 탄화수소가 대부분이어서 별도의 수소처리공정을 거쳐야 완전한 제품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Coke는 고체성분으로 석탄처럼 연료로 사용하거나, 탄소전극을 만드는데 사용함.열분해 반응에서 생산되는 다량의 고체 Coke는 반응기에서 제거할 때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므로 보통두개의 반응기를 설치하여 교대로 운전하며, 국내에는 현대정유의 19,000BPSD 규모의 Delayed Coker가 유일함.

 

증가목표(Growth Target)

기준년도 배출량 대비 증가를 허용토록 감축목표를 설정하는 것을 말함.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

대기 중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CO2)와 같은 온실가스가 태양열이 지표면에 복사된 후 우주공간으로 방출되는 것을 흡수 차단함으로서 온실과 같은 현상을 가져와 지구대기의 기온이 상승하는 것을 말하며, 이를 온실효과(Greenhouse Effect)에 의한 지구온난화라 한다.

 

지구온난화지수(Global Warming Potential, GWP)

지구온난화지수는 각각의 기체들을 기준이 되는 기체들과 비교했을 때 대기하층에서 성층권까지의 상대적 가열정도의 척도로서 나타내어진 것임. 이산화탄소 1㎏과 비교하였을 때 어떤 온실기체가 대기중에 방출된 후 특정기간 동안 그 기체 1㎏의 가열효과가 어느 정도인가를 평가하는 척도임. 100년을 기준으로 CO2를 1로 볼 때 CH4가 21, N2O가 310, HFCs가 1,300, PFCs가 7,000, SF6가 23,900 임.

 

지구환경기금(Global Environment Facility, GEF)

수십억달러를 보유하고 있는 GEF는 세계은행(World Bank), 유엔개발계획(UNDP) 및 유엔환경계획(UNEP)에 의해 '90년에 설립되었음. 잠정적으로 협약의 재정메커니즘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세계 기후변화방지를 위한 개발도상국의 프로젝트에 기금을 출연하고 있음.

 

지역냉난방(District Heat and Cooling)

일정지역의 다수의 건물에 동시에 냉난방을 하는 방식. 가정의 집중난방이나 빌딩의 공기조절을 지역적으로 확대한 것으로 중앙에 냉난방 플랜트를 만들어 거기서 파이프를 통하여 주변의 빌딩에 냉난방기능을 공급한다.

 

지역에너지 시스템

태양에너지, 지열, 해양에너지 등 그 지역의 특성과 자주성에 대응하고, 또한 환경, 공해, 입지문제를 고려한 에너지시스템을 말한다.

 

지열에너지

지열은 지하의 물체가 갖는 열을 말한다. 지열은 지구가 생성될 때있던 열로 아직 방열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우라늄이나 토륨 같은 방사선원소의 붕괴에 의하여 생기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가 있다. 일본과 같이 화산이 많은 고온지열지대는 지하에 용융암석의 활동에 의한 것으로 여기에 물을 주입하여 증기를 생산하고 이것으로 증기터빈을 돌려서 발전에 이용할 수가 있고 이런 시스템을 지열발전소라고 한다. 보통 화산이 없는 지대에서는 약 3000미터 지하로 들어가면 약 섭씨 100도가 된다. 지역에 따라서는 이보다 온도가 높을 수도 있다. 파리 같은 곳에서는 약 1500미터 정도에서 약70도 전후의 열을 퍼올려 지역난방에 이용한다.

 

직달일사량(Direct radiation)

태양면으로부터 발생하여 물체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방향의 변화가 없이 직접 입사되는 일사량.

 

직달일사량(Pyrheliometer)

입사방향에 수직인면에서의 직달일사량을 측정하는 기구

 

직류(Straight Run)

증류공정만을 거쳐 원류로부터 바로 생산된 제품을 말함.

 

진공형집열기(Vacuum collector)

일반적으로 약간의 집광형 집열방식을 취하며 집열판과 덮개 사이에 진공이 형성되어 있다.

 

질소산화물(Nitrogen Oxygen)

보통형의 연소장치에서 연료의 연소시 형성되고 방출되는 질소의 산화물이다. 질소산화물은 연료중에 포함된 질소가 기여하기 보다는 공기중에 있는 질소의 고온산화에 기인된 것이다.질소산화물(대기오염에서는 NOx라고 쓴다.)의 직접적인 해는 사람의 기도를 자극하며 식물에 손상을 준다. 간접적인 해는 광화학 스모그반응에 원인을 제공하며 산성비의 문제도 일으킨다.

 

집광체(Concentrator)

집광형 집열기의 일부로서 태양에너지를 집열기의 집열판에 집광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집광형집열기(Concentrating solar collector)

태양열 집열기로서 반사경, 렌즈 혹은 그밖의 광학기구를 이용하여 집열기 전체면적(collector aperture)에 입사되는 태양광을 그보다 적은 수열부면적(absorber surface)에 집광이 되도록 고안된 장치.註1 : 이러한 형태의 집열기는 주로 직달일사량만을 이용한다.註2 : 현재 상용되고 있는 집광형 집열기는 빛의 굴절(렌즈식집열기)과 빛의 반사에 의해 작용되고 있는 형태로 대별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반사면은 반구, 포물선, 포물선 모양의 실린더 혹은 원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집열기 표면집열면적(Collector aperture)

집열기 정면의 단면적을 일컬으며 이곳에 수직 직달일사량이 직접 혹은 반사되어 집열판에 도달된다. 다시 말해서 태양광이 집열기의 첫 공기/덮개 경계를 통과하는 표면적이다.

 

집열기 효율(Collector efficiency)

주어진 기간동안 태양열 집열기에 의해 실제로 얻어진 열량과 같은 기간동안 집열기 표면에 입사된 총태양에너지양과의 비.註 : 실제로는 모든 집열시스템은 열적관성(thermal inertia)을 보유한다. 그러므로, 효율계산은 균등한 조건(기후데이타, 집열기온도) 하에 일정한 기간동안 얻어진 기록을 근거로 하여야 한다.

 

집열기경사각(Inclination of collector)

설치된 집열기면과 수평면에 의해 만들어지는 각.

 

집열매체

집열기로부터 집열된 열에너지를 축열조나 이용부로 이동시켜주는 유체(주로 물, 공기, 부동액 등).

 

집열판(Absorber)

집열기의 한 부분으로서 태양광을 흡수, 열에너지로 전환하며 이를 다시 열매체로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한다.註 : 평판형 집열기의 경우, 집열판은 검고 대개 무광택 표면을 갖는다.

 

천연가솔린(NGL / Natural Gas Liquid)

거의 납사로만 구성된 원유로 천연가솔린이라고 불리기도하며 주로 천연가스전에서 천연가스를 생산하는 가운데 생산됨. 납사가 주성분이면서 소량의 LPG유분, 등유 유분, 경유 유분을 포함하고 있는 Condensate와는 달리 거의 납사로만 구성되어 있어 아주 간단한 처리를 거치거나 또는 처리를 거치지 않고 바로 납사로 사용할 수 있다.

 

천연가스(Natural Gas)

주로 메탄으로 구성되며, 지하 저장층에 천연으로 부존함.

 

천연에너지(Natural Energy)

기술적 혹은 경제적 개발의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는 천연적으로 발생하는 모든 에너지형태와 원천.

 

첨두부하용 발전소(Peak-load Power Station)

주로 첨두부하대 소요전력을 공급하는 발전소

 

청정개발체제(Clean Development Mechanism, CDM)

교토의정서 제12조에 규정된 것으로 선진국인 A국이 개발도상국인 B국에 투자하여 발생된 온실가스 배출 감축분을 자국의 감축 실적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촉매(Catalyst)

자기자신의 고유한 성질은 변하지 않으면서 어떤 화학반응의 속도를 조절(촉진 또는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

 

촉매연소(Catalytic combustion)

촉매를 이용하여 연소온도를 낮추어 연소기키는 방법으로 저온이기 때문에 nitrous oxide (NOx) 배출을 낮출 수 있다.

 

총량규제(Regulation of Total Emission)

수질의 총량규제는 유역의 오염물질의 총량을 자연환경의 자정능력과 환경기준에서 구해진 허용 오탁부하량을 오염원에 적절히 분배하여 오탁물질의 양을 직접 중량단위로 규제하면서, 배수의 질과 양을 관리하는 방법이다. 이것을 위해서는 용수의 사용합리화, 배수의 재이용, 고온처리 등 배수의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촤(char)

석탄을 가열하면 먼저 수분이 증발하고 그 다음에는 휘발분이 날아가는데, 그 나머지를 말하는 것으로, 주로 회분과 탄소 성분으로 구성됩니다. 촤(char)를 만들기 위해서는 당연히 산소의 공급없이 가열하여 연소를 방지시켜야 합니다. 촤(char)는 연료로 사용하거나 활성탄 제조등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습니다.

 

최종 에너지소비(Final Energy Consumption)

최종에너지 소비자에게 공급된 에너지양으로 전환손실 및 에너지산업체의 자체소비는 제외한다.

 

추정매장량(Possible Reserves)

생산성 시험에 의해 석유의 부존이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현재까지의 자료에 의하면 석유의 부존과 생산이 가능한 곳의 매장량.

 

축열조

열을 저장하는 탱크나 장치.

 

캐소드(Cathode)

환원반응(전자를 얻는 반응)이 일어나는 전극.

 

코오크 오븐 가스(Coke-oven Gases)

코오크 오븐에서 생성되는 가스

 

코우크스(Coke)

석탄을 공기가 없는 상태에서 열을 가함으로써 얻는 고체연료.

 

콘덴세이트(Condensate)

여러 가지 의미가 혼용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콘덴세이트라 함은 API 40-50도 이상의 초경질 원유를 말하며 주 성분은 납사이고 소량의 중간유분(등유유분 및 경유유분) 및 잔사유분을 함유하고 있다.

 

크린에너지 시스템(Clean Energy System)

에너지시스템의 일차 및 이차에너지에서 연소에 의해서 COx, SOx, CHx등을 방출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NOx에 대해서는 공기중에서 물체를 연소하면 반드시 방출하기 때문에 규제치를 하회하는 연료연소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화석연료를 함유하지 않을 때는 크린에너지 시스템이라고 하나, 원자력이나 지열등은 완전히 크린하지는 않다.

 

탄력성(Elasticity)

동일기간에 독립변수의 변화에 대한 종속변수의 관련된 변화간의 관계.

 

탄소집약도(TC/TOE)

탄소집약도란 소비한 에너지로 인해 배출된 CO2 량을 에너지 총 에너지소비량으로 나눈 값으로서 탄소집약도가 높다는 의미는 상대적으로 탄소함유량이 높은 에너지(고탄소 에너지) 사용 비율이 높다는 것임. 다시말해서 동일한 열량의 에너지를 얻기 위해 전체를 석탄으로 소비하는 경우와 전체를 천연가스로 소비하는 경우를 비교하면 전자의 경우가 후자에 비해 탄소집약도가 높게됨.

 

탄화(건류)(Carbonization(drying))

공기가 없는 상태에서 유기원료를 가열하여 코우크스와 조 석탄 가스 및 조 타르를 얻는 것.

 

태양건조기(Solar drying)

농산물과 공산물을 건조하기 위하여 태양열을 이용하는 기법.

 

태양고도(Solar altitude)

태양면의 중심부에서 관찰점으로 그은 선과 관찰점으로 통한 수평면 사이에 이루어지는 각, 여기서 방위각(azimuth)이란 태양을 통하여 지나가는 수직면과 남북의 수직면과 이루어지는 각을 의미하고 이로 인하여 태양의 궤도를 수평면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태양광 모듈(Photovoltaic Modules)

태양전지를 실제 사용시에는 모듀의 형태로 제조하는데, 태양전지르 직병렬 연결하여 장기간 자연환경 및 외부 충격에 견딜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진 형태.전면에는 투과율이 좋은 강화유리를 사용하고, 뒷면에는 Tedlar, 태양전지와 앞뒷면의 유리, 테들러는 EVA를 사용하여 접합시키는데 이를 Lamination 공정이라 함.

 

태양광 어레이(Photovoltaic Array)

실제 사용부하에 맞게 여러개의 태양광모듈을 지지대에 설치한 형태

 

태양광-수소(PV-hydrogen)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만들고 이를 전원으로 하여 물전기분해로 수소를 만드는 방법.

 

태양광발전(Photovoltiac Power Systems)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실제 수요부하에 맞게 구성한 발전시스템으로 태양전지로 부터 발생되는 직류를 교류로 변환시키는 인버터, 흐린 날 사용을 위한 저장용 배터리 등으로 구성.시스템이 전력 계통선과 연계한 경우 이를 계통연계형시스템, 낙도와 같이 계통이 없어 자력발전만 하는 경우 이를 독립형시스템으로 칭함.

 

태양로(Solar furnace)

내열성 물체나 용융하고자 하는 물질에 태양광을 집광시킴으로써 높은 온도를 얻을 수 있게 설걔한 로(furnace)로서 열발전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태양로발전소(Solar thermal power station)

태양열을 열매체에 전달하여 수집된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도록 설계된 발전시설.註 : 태양열 탑 발전소(solar tower power station)는 태양열을 집열하기 위한 탑을 세우고 다수의 거울로 태양광을 탑에 반사시켜 집열된 고온의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태양열 발전소의 일종이다.

 

태양연못(Solar pond)

자연적 또는 인공적으로 조성된 태양열을 집열하는 연못으로서 염도구배(salinity gradient)를 조성하여 온도성층 조건을 역으로 유지시켜 바닥으로 갈수록 물의 온도가 높게 유지된다. 태양연못으로부터 얻은 열에너지는 주로 산업공정열이나 열발전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태양열 온수급탕(Solar water heating)

물을 가열 또는 예열하기 위해 태양열을 집열하여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주로 가정용으로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이를 가정용 온수급탕시스템(DHWS)이라고도 부른다.

 

태양열발전소(Solar Thermal Power Station)

태양열을 열 매체에 전달하여 수집된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도록 설계된 발전시설.주: 태양열 탑 발전소(Solar tower power station)는 태양열을 집열하기 위한 탑을 세우고 다수의 거울로 태양광을 탑에 반사시켜 집열된 고온의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태양열 발전소의 일종.

 

태양열집열기(Solar collector)

입사되는 태양광을 흡수; 열에너지로 전환하여 열전달매체에 전달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註 : 경우에 따라서 "집열기"라 함은 태양광을 집열하는 부분만을 지칭하고 시스템 전체를 가르켜 "태양광/태양열전환장치(heliothermal converter)"라 하기도 한다.

 

태양의존율(또는 태양열 절감율)

열부하 중 태양열에 의해서 공금하는 비율.

 

태양적위(Solar declination)

태양의 정오에 위치할 때 적도면과 이루어지는 각註 : 적위는 연중시간에 따라 변화한다.(하지때 +23.45℃ : 동지때 -23.75℃ : 춘추분때 0℃)

 

태양전지(Solar Photovoltaic Cell)

광기전력효과(photovoltaic effect)를 응용함으로써 태양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소자. 광기전력효과에서와 같이 태양광에 의해서 발생된 전하운반자(Carrier)는 내부전기장에 의하여 외부회로를 통하여 흐르게 됨.주: 실제로 전지로 구성된 집합체는 모듈에 부착되고 모듈은 다시 판이나 배열(arrays)형태 (직렬, 병렬 또는 직, 병렬 혼합형)로 제작됨. 현재 태양전지의 응용은 전지의 특성을 최대 활용할 수 있는 조건을 갖고 있는 분야에 국한되어 있다.즉, 적은 전력을 필요로 하는 외딴지역에, 예를 들어 태양펌프, 광학신호, 통신, 밧데리 충전, 인공위성 전원, 전기분해, 화학전지 또는 밧데리 대체용(시계, 계산기, 장난감...등)으로 활용되고 있음. 태양전지의 적용을 확대해서 생각해 보면 대규모 광 발전소를 들 수 있으나 모듈 값이 내려가야만 가능하다는 판단임.

 

태양정수(Solar constant)

태양과 지구의 평균거리에서 지구의 대기권을 벗어난 곳에서 수직으로 입사되는 일사량을 의미하며 이 수치는 1,367 ± 5W/㎡ 로 상용되고 있다.

 

태양조리기(Solar cooker)

음식조리를 위해 태양열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집열기로서 일반적으로 우산모양의 집광장치를 갖추고 있다.

 

탱크로리(Road tanker / Tank truck)

석유제품과 같은 액체화물의 수송을 위한 차량.

 

터보기관(Turbo Engine)

압축기가 장치된 연소기관이며, 압축기는 대기압에 비해 연소공기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압축기는 고온의 배출가스에 의해 작동되는 터빈에 의하여 작동되어 진다.

 

터빈(Turbine)

기관의 하나로서 작동 매체를 터빈축차의 회전 날개에 부딪치게 함으로써 동력축에 동력을 공급하는데 필요한 회전동작을 얻는 것.주: 작동유체로서 물, 스팀 또는 바람을 사용하는 터빈들이 최종 소비자에 의해서라기 보다는 에너지 공급자들에 의해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고 있다.

 

토탄(Peat)

가연성, 연성, 다공성이거나 압축성, 수분함량이 높은 식물성의 화석 퇴적물(최고 90%까지의 높은 수분함량). 쉽게 부서지고 연한 갈색에서 짙은 갈색.

 

투과율(Transmittrance/transmission factor)

어떤 물체의 표면을 투과한 복사에너지와 같은 표면에 입사된 총 복사에너지와의 비.

 

트롬벽(Trombe wall)

표면이 검은색으로 칠해진 열용량이 큰 주거건물의 남쪽벽(40cm두께)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유리창으로 덮혀있으며 낮동안 벽의 상하단부의 통풍구를 통한공기의 자연대류로 주거공간을 난방할 수 있으며, 밤에는 벽에 축열된 복사열을 이용하여 주거공간의 난방이 역시 가능하다.

 

평판형집열기(Flat plate collector)

태양광의 밀도를 증가시키는 집광장치가 따로없는 집열기로서 보통 평판형으로 구조가 되어있다.註1 : 이러한 형태의 평판형 집열기에는 전천일사량이 사용된다.註2 : 액체식 집열기는 다음과 같이 대별된다; 관 및 판(tube and sheet)집열기, 관 및 휜(tube and fin) 집열기, 롤 본드(roll-bond) 집열기, 유하식(trickle) 집열기, 하이트 파이프식(heat-pipe)집열기등.

 

폐열보일러(Waste Heat Boiler)

각종 공업 프로세스에서 배출되는 고온기체의 열을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하는 장치를 폐열보일러라고 한다. 소각로의 여열 보일러도 여기에 속한다.

 

폐열의 이용(Utilization of Waste Heat)

쓰레기 소각로의 폐기이용은 폐열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증기 또는 온수의 열로 쓰인다. 증기이용법으로는 발전, 냉·난반용, 공장프로세스 증기용등, 또 온수이용법으로는 공장내의 급탕, 목욕탕용, 냉난방용, 온수풀용, 온수용 등이 있다.

 

풍력-수소(Wind-hydrogen)

풍력발전에서 얻는 전기를 전원으로 하여 물분해 수소제조하는 방법.

 

프로판(Propane)

분자식 C3H8의 파라핀계 탄화수소로, 일반적으로 석유정제나 천연가스 생산시 부산물로 얻어지는 가스이며 부탄가스와 함께 LPG로 불리며, 중질유 분해나 접촉개질, 천연가스 생산시 부산물로 생산되기도 함. 프로판은 주로 가정에서 취사나 난방에 사용하는 LPG로 천연가스가 공급되지 않는 지역에서는 도시가스로도 사용됨.

 

플라이 애쉬(Fly Ash)

연료의 연소에 의하여 비산되는 무기성 화분으로 미분탄연소인 경우는 특히 플라이 애쉬가 많다. 플라이 애쉬는 집진기로 제거할 수 있다. 플라이 애쉬는 고정탄소를 포합하는 흡착성이 있으므로 수처리에 이용하는 일이 있다.

 

함수율(Moisture Content)

수분이 포함된 연료에서 수분의 양, 무게백분율로 표시한다.-총수분:유리수분과 수분의 합-분석시료에서의 수분:실험실 분석시 연료시료석의 수분 표준조건은 온도 30℃, 상대습도 96∼97%이다.-함수능력:공기중에 노출되어 평형을 이룬 후의 연료시료석의 수분 표준조건은 온도 30℃, 상대습도 96∼97%이다.

 

합성액체연료(Synthetic Liquid Fuel)

4∼10%의 타르상태의 오일쉘(Oil Shale), 석탄액화에서 얻어지는 석유류의 액체연료유를 총칭해 부른다. 석탄액화는 기술적으로 가눙하지만 대량의 수소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경제성 확보가 과제로 되어 있다.

 

항공휘발유(Aviation Gas / Aviation Gasoline)

제트엔진을 사용하지 않는 소형경량 항공기의 엔진은 자동차의 휘발유엔진(피스톤 엔진)과 같은 구조로 되어있으며 이 엔진에 사용되는 휘발유를 말함. 항공기의 엔진은 자동차의 엔진에 비해 압축비가 높고, 고속으로 회전하며, 지상보다 조건이 까다로운 고공에서 운전되므로 이에 사용되는 휘발유는 고옥탄가가 요구될 뿐만아니라 기타 출력, 휘발성, 산화안정성, 어는점 등의 규격이 일반 자동차용 휘발유보다 까다로움.

 

핵연료 사이클(Nuclear Fuel Cycle)

천연우라늄의 채광에서 제련, 농축, 성형가공, 원자로내의 연소, 전환, 사용된 연료의 재처리 (감손우라늄이나 플루토늄 등을 떼어내서 다시 핵연료로서 재이용함)까지의 일련의 순환을 말한다. 핵연료 사이클의 확립은 핵연료의 안전공급과 효율적 이용면으로 보아 극히 중요한 일이다.

 

핵연료(Nuclear Fuel)

우라늄이나 플라토늄 등 중성자에 의한 핵분열을 일으켜 에너지를 발생하는 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말한다. 이들을 원자로안에 넣어서 핵분열 연쇄반응에 의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핵융합(Nuclear Fusion)

수소, 중수소, 삼중수소 등 질량이 가벼운 원자핵 2개가 융합해 무거운 원자핵이 생기는 반응을 말하며, 이때 방출되는 에너지를 이용해 발전등을 하는 것을 핵융합로라고 한다. 핵분열과 달리 방사선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지만, 종래의 열핵융합형의 노에서는 고온고밀도의 플라즈마(원자핵과 전자가 혼재되어 있는 상태)를 만드는 것이 기술적으로 어려워 실현은 21세기 후반에 이루어질 전망이다. '89년 3월 구미의 과학자들에 의해 상온핵융합이 발표되어 활발한 논의가 일어나고 있다.

 

현열(Sesible Heat)

가열된 물질이 상태변화가 없는 경우 보유하고 있는 열량

 

형상기억합금

일정한 형상을 기억하면 변형을 시켜도 적당히 가열함으로써 다시 본래의 모습으로 되돌아오는 것이 형상 기억 합금이다. 이 합금은 일정한 열 처리를 함으로써 모양을 기억시킨다. 예컨대 니켈·티탄의 합금의 경우, 성형시킨 모양을 그대로 고정시켜 섭씨 4백∼5백도의 온도로 30분 정도 유지시킨다. 이런 처리 과정을 거치면 어떤 모양으로 변화시켜도 가열하면 본래의 모양으로 되돌아가는데 이 합금은 그 모양을 기억했다고 볼 수 있다. 1960년대초 미국 해군 연구소에서 새로운 함선용 재료를 개발하던 중 니켈과 티탄의 합금이 형상 기억 효과를 갖고 있다는 것이 처음 발견된 이래 이 분야의 연구는 빠른 속도로 번져나갔다. 형상 기억 합금의 성질을 나타내는 합금은 니켈·티탄 합금, 구리·알루미늄·아연 합금 외에도 수여 종이 있으나 앞서의 2종 외의 합금은 단결정으로 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실용화가 어렵다. 이 합금은 낮은 온도에서 유연해지고 높은 온도에서는 단단하고 강해진다는 일방향성을 나타내는 가역적인 성질이 있기 때문에 액체 공기(극저온) 속에서 확대시킨 고리 모양의 합금이 상온에서는 작게 오그라진다는 성질을 이용해서 파이프의 이음매의 접속이나 클램프 등의 고정 용구로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을 다시 저온으로 해도 이전의 변형된 모양이 되지 않는 것도 특징의 하나이다. 또 형상의 변화량이 많고 입체적이며 특정한 온도에서 급격하게 작동한다는 가역적인 온도 작동 소자의 특징도 있다. 이 합금은 일정한 온도에 도달하거나 또는 넘어서면 가역적인 동작으로 위험을 예방하는데, 예컨대, 초과열된 자동차의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해 팬을 회전축에 연결하는 팬클러치와 같은 온도 스위치가 있다. 또 가전 제품의 자동 폐쇄 장치에도 사용되고 있고 미국에서는 오래전부터 군용기와 군용함선의 파이프계에서는 이 합금을 사용하고 있다. 이 합금은 우주 개발 분야에도 진출하고 있다. 예켠대 안테나의 경우 일정한 온도에서 안테나를 만든 다음, 낮은 온도에서 이 안테나를 접는다. 안테나의 부피가 작기 때문에 우주로 운반하기가 쉬어진다. 인공 위성의 본체 속으로 들어간 안테나는 위성이 궤도를 탄 뒤 태양열이나 전기히터로 온도를 올려 일정한 온도가 되면 본래의 모습을 기억하게 되어 당초의 크기로 퍼진다는 것이다. 안경이나 장난감의 경우, 다소 난폭하게 다루어서 모양이 변해도 라이터나 성냥만 있으면 본래의 모습으로 되돌릴 수 있다. 이밖에도 인공 관절이나 인공 뼈 그리고 인공 치근에도 형상 기억 합금을 사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출 처 : "21세기를 여는 첨단과학기술", 한국과학기술진흥재단

 

혼탁계수(Turbidity coefficient)

측정점에서 수직방향으로 에어러솔(aerosol-공기중에 떠있는 미립자 혹은 산란의 원인이 되는 작은 입자) 의 양에따라 주어지는 값을 일컫는다. 만약, 파장에 따른 사란의 변화가 주어졌다면, 이 혼탁계수의 값을 이용하여 어떤 특정 범위의 파장 뿐아니라 각 파장에서의 (즉, 태양광의 전 스팩트럼에서의 에어러솔에 의한 직달일사랑의 소산을 계산할 수 있다.註 : 엥그스트롬(angstrom)의 혼탁계수(β)는 파장이 1μm일때의 값이며 보통 깨끗한 대기에서는 0에서부터 2까지, 오염된 대기에서는 0에서부터20까지의 값을 나타낸다. 그 밖의 다른 종류의 혼탁계수(β Scuepp, βValko)도 사용된다. 이 계수들은 단지 에어러솔의 영향을 고려한 것이나, 직달일사량의 소산은 대기중의 여러 기체(오존, 수증기, 이산화탄소)에 의한 분자의 확산 및 흡수에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

 

혼탁인자(Turbidity factor/Linke turbidity factor)

직달일사량의 소산이 실제의 대기에서 일어난 것만큼 필요한 깨끗하고 건조한 공기의 지표면으로부터 누적 정도에 따라 부여된 값이다.註 : 이 인자는 오존, 수증기 및 에어러솔의 양과 관계가 있으며 또한 태양의 고도에 따라 다소의 영향을 받으므로 매일 시간에 따라 변화한다.(대기상태가 변화하지 않는 조건에서), 이것은 태양열 적용시 실험인자로서 실제적으로 적용된다. 보통 이값은 (깨끗한 공기) 에서부터 6 (오염된 공기)까지의 범위이다.

 

화석연료(Fossil Fuel)

태고의 생물이 지각층에 매장되어 연료로 되어 사용되어지는 천연자원을 총칭해 화석연료라 부른다. 통상 석탄, 석유, 천연가스의 탄수화물을 지칭하며, 1차 에너지원으로서의 수력, 지열, 우라늄 등과 구분된다.

 

확인매장량(Confirm!ed Reserves)

현재의 기술로써 채굴할 수 있고, 소재가 명백하고, 경제적으로 균형이 맞는 매장량을 말한다. 물, 가스의 주입등 2차적 수단에 의한 회수가능분까지도 포함하는 것이 보통이다.

 

황산화물(Sulfur Oxides)

황을 포함하고 있는 화석연료(특히 석탄과 석유)가 연소할 때 주로 나오는 황의 산화물.황의 산화물(대기오염에서는 SOx라고함) 중 가장많이 존재하는 것이 아황산(또는 이산화황)이다. 이는 강하고 톡 쏘는듯한 냄새를 지니고 어떤 농도 이상이 되면 호흡기에 유독하며 환경 특히 건물과 식물에 해를 미친다. 또한 산성비와 같은 문제를 일으킨다.

 

회분(연소찌꺼기)(Ash Combustion Residue)

연소후 남는 찌끼로 탄속에 포함된 광물질 불순물이 주성분이며 또한 미연소탄도 포함될 수 있음.주: 연료분석에서 회분은 연료가 완전 연소된 후의 비활성 잔류물로 정의.

 

회분함량(Ash content)

연료를 815℃ 온도와 기타의 명시된 조건하에서 연소시켰을 때 얻어진 잔유분의 무게 백분율.

 

회수에너지(Recovery Energy)

냉매체에 프레온가스 등을 이용하여 냉난방에 이용할 수 있는 기계장치이다. 프레온가스는 콤프레셔를 고압으로 하면 액화하는 데 그때 발생하는 응축열을 난방에 이용하고 한편 액화한 프레온가스는 상압으로 되돌리면 기화하여 주위에서 열을 뺏기 때문에 이것을 냉방에 이용한다.

 

흡수원(Sink)

대기중 온실가스를 흡수하여 지구온난화현상을 줄이는 행동. 교토의정서에서는 신규 조림, 수종갱신 등으로 규정.

 

흡수율(Absorptance/absorption factor)

어떤 표면에 흡수된 복사에너지와 이 표면에 입사된 총 복사에너지와의 비.

 

히트파이프

금속섬유 등의 내용물을 내장한 밀봉용기 내에 프레온, 물, 나트륨금속 등의 열매체를 감압봉입한 것이다.이 히트파이프는 일단을 가열하면 봉입된 액체는 증기류로 되어 타단으로 빠른 속도로 이동한다. 여기서 증기가 응축하고 방열한다. 응축된 액체는 금속섬유의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다시 가열부로 이동한다. 히트파이프는 약간의 온도차로 이 사이클을 형성하게 되고 동력이 없고 효율이 높은 열운송이 이루어지는 열교환 장치이다.

 

히트펌프

냉동기의 응축기로부터 방열되는 열을 난방용으로 사용하도록 한 장치를 히트펌프라고 한다. 히트펌프는 증발기측에서 프레온이 증발하면서 저온부로부터 열을 빨아들이고 증발된 증기가 압축기에 의하여 압축되면서 고온부인 응축기에서 응축한다. 이 때 발생되는 열을 이용한다. 열을 빨아들이는 저온부로는 자연에너지인 대기가 될 수도 있고 폐열원, 태양에너지가 될 수도 있다. 저온부를 땅에 묻으면 지열을 이용할 수도 있다.

출처 : [기타] 인터넷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출처 : 남육
글쓴이 : 남육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