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혜의 자연과 역사의 현장 강화도
강화는 수 많은 문화유적과 역사가 살아숨쉬는 역사와 문화의 산 고장이다. 청동기시대 문화유적인 고인돌과 단군신화 속 민족의 영산인 마니산(참성단), 전통사찰인 전등사,보문사등이 있으며 이외 관내지역마다 수많은 역사유적지가 산재하여 있고, 세계 5대 갯벌중의 하나인 강화도의 갯벌은 생태자연학습장으로서 이용가치와 자연문화적인 고귀한 가치를 간직하고 있다.
<강화역사관>
1988년 9월 개관하고, 2001년 4월 새로 전시실 내부를 정리하였다. 역사관은 4개의 전시실로 되어 있는 우리나라 개국의 성역인 강화도의 문화유산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곳이다. 역사관 옥외 전시장에는 갑곶돈대, 이섭정, 홍이포, 탱자나무, 비석군, 해선망어선 등이 전시되어 있다. 목, 금, 토,일 4일간은 문화유산해설사가 설명을 해준다. - 위치 : 인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관람시간 : 09:00~18:00
<김포조각공원>
1998년에 문을 열어 김포의 명소가 된 곳이다. 이탈리아의 지오바니 안셀모, 미국의 솔 레위트, 프랑스의 다니엘 뷰렌 등 세계 미술무대를 이끄는 도시환경 조각가들의 작품과 제주대학교 교수 김방희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조각품은 2㎞에 이르는 산책로를 따라 자연과 어우러져 배치되어 있다. - 위치 : 김포시 월곶면 고막리, - 관람시간 : 하절기 (3월~9월) 08:00~18:00, 동절기(10월~2월) 08:30~17:00
보문사 및 전등사
보문사는 우리나라 3대 관음성지로서 절을 창건 후 14년이되던 해에 고씨성을 가진 어부가 바닷가에서 불상과 나한상 22구를 그물로 낚아올려 절의 우측 석굴에 봉안하였다고 한다. 그때로부터 이 석굴에 기도를 하면 기적이 이루어져 많은 신도들이 이곳을 찾고 있다. 절 뒤편에는 마애석불이 조각되어 있으며 그 앞에서 보이는 서해풍광 또한 일품이다. - 위치 : 인천 강화군 삼산면 매음리 629
전등사는 1266년(원종 7)에 중창된 이래 3, 4차례의 중수가 있었다고 되어 있다. 이 기록에 의하면 현존하는 우리나라 사찰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볼수 있으나 확실하게 단정짓기는어렵다.
- 위치 : 인천 강화군 강화읍 갑곶리 1044, 관람시간 : 09:00~18:00
둘러보기
▶ 강화역사관 ▷ 고려궁지 ▷ 광성보 ▷ 초지진 ▷ 전등사 ▷ 분오리돈대
▶ 김포조각공원 ▷ 외포리삼별초항쟁비 ▷ 외포리선착장(낙조조망지) ▷ 석포리선착장 ▷ 보문사
도시민 농어촌체험캠프
▶ 주관 : 강화군, 볼음어촌계
▶ 장소 : 볼음도 일원
▶ 행사일시 : 6 ∼ 8월 예정
▶ 행사개요 : 도시민들이 강화군 볼음도에서 민박 또는 텐트를 통해 숙박하고 갯벌에 들어가 각종 어패류를 잡으며 농어촌을 체험할
수 있다.
가족과함께즐겨요
▶ 주관 : 강화군, 내가어촌계
▶ 장소 : 강화군 내가면 정포항 일원
▶ 행사일시 : 매년 10월 8일~10월 10일 예정
▶ 행사개요 : 강화는 28개의 도서로 구성되어있으며 한강, 임진강, 예성강의 하류가 교차되는 지역으로서 담수와 해수가 합류되어 강화지역에서 생산되는 새우젓, 특히 가을에 생산되는 추젓은 전국생산 새우젓 중 제일의 품질을 자랑하고 있다. 새우젓을 주제로 새우젓 어장 승선견학과 새우젓 김치담그기, 새우젓 시식, 새우젓 경매행사 등 다채로운 행사가 열린다.
주변해수욕장
▶ 동막해수욕장, 민머루해수욕장
먹을거리
▶ 강화도 밴댕이 : 강화도 밴댕이는 5월 중순경부터 강화 인근어장에서 산란을 위하여 떼지어 몰려온다. 강화도 밴댕이는 5월 중순부터 7월 준순까지 주로 어획되며 양식이 불가능한 까다로운 성격의 어종으로 양식이 않되는 순수 자연산 횟감이다.
강화도 밴댕이
수산물판매처
▶ 경인북부수협 유통사업소, 강후어촌계 수산물직판장, 내가어촌계 수산물직판장, 내리어촌계 수산물직판장
▶ 매음어촌계 수산물직판장, 초지어촌계 수산물직판장, 선두어촌계 수산물직판장, 김포어촌계 수산물직판장
자료제공 - 수협중앙회
'가볼만한 곳'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경북/경주] 천마총의 깊은 가을이야기 (0) | 2008.10.07 |
---|---|
원시의 절경 쇠소깍에서 (0) | 2008.09.08 |
[스크랩] 아름다운 항포구 울릉도 통구미마을 (0) | 2008.09.03 |
[스크랩] 남도(3)~송.광.사 (0) | 2008.09.02 |
[스크랩] `다리 밑에서 주워왔다`말의 근원지-청다리 (0) | 2008.05.21 |